전체 글512 EBS 위대한 수업3 (엘리트 신화의 종말) 4강 엘리트 제국은 어떻게 지켜지나 (2023.11.22 방송) EBS 위대한 수업3 (엘리트 신화의 종말) 4강 엘리트 제국은 어떻게 지켜지나 위대한 아흔두 번째 강연 '엘리트 신화의 종말 '(시즌3 열한 번째) 미하엘 하르트만 독일 다름슈타트 공과대 사회학 명예 교수 (2019) (2017) (2011) 4강 엘리트 제국은 어떻게 지켜지나 비교적 배타적인 국가 엘리트 충원 방식은 사회적으로 두 가지 심각한 사회 문제를 야기한다 첫 번째는 많은 사람들이 추측하는 것만큼 사회적 이동성이 크지는 않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사회 최고직에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은 거의 닫혀 있다고 볼 수 있다 두 번째는 엘리트의 사회적 출신 배경이 사고와 행동방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출신 배경이 어떻게 출세 가능성을 제한하거나 확대하는지 그 예를 들어보자 2.. 2023. 11. 23. EBS 위대한 수업3 (엘리트 신화의 종말) 3강 사회는 어떻게 엘리트를 선발하나 (2023.11.21 방송) EBS 위대한 수업3 (엘리트 신화의 종말) 3강 사회는 어떻게 엘리트를 선발하나 위대한 아흔두 번째 강연 '엘리트 신화의 종말 '(시즌3 열한 번째) 미하엘 하르트만 독일 다름슈타트 공과대 사회학 명예 교수 (2019) (2017) (2011) 3강 사회는 어떻게 엘리트를 선발하나 엘리트는 주로 상위 4~5% 출신의 사람들로 구성된다 엘리트라고 불리는 사람들의 배경은 상류층 또는 중상류층 가정 출신이다 가장 배타적인 충원 형태는 프랑스에서 나타납니다 지난 30년간 임기를 보낸 프랑스 대통령 다섯 명은 최상위 부르주아 가문이거나 좋은 부르주아 가문 출신이었다 총리 14명 중에선 11명이었다 최상위 부르주아와 좋은 부르주아 가문의 비중은 거의 비슷했다 세 명의 총리만이 일반 계.. 2023. 11. 22. EBS 위대한 수업3 (엘리트 신화의 종말) 2강 대학은 어떻게 엘리트를 만들어 내나 (2023.11.20 방송) EBS 위대한 수업3 (엘리트 신화의 종말) 2강 대학은 어떻게 엘리트를 만들어 내나 위대한 아흔두 번째 강연 '엘리트 신화의 종말 '(시즌3 열한 번째) 미하엘 하르트만 독일 다름슈타트 공과대 사회학 명예 교수 (2019) (2017) (2011) 2강 대학은 어떻게 엘리트를 만들어 내나 엘리트를 이야기할 때 엘리트 대학을 빼놓을 수 없는 이유는 서구 주요 선진국에는 엘리트 대학이 있기 때문이다 엘리트 대학은 두 가지 주장을 고집하는데 1. 엘리트 대학이 국가의 대다수 엘리트들을 교육한다 2. 엘리트 대학은 학업 성적에 따라 학생을 선발한다 많은 분들이 '니드 블라인드(Need-blind)' 입학 정책에 대해 들어보셨을 것이다 미국 엘리트 대학이 추구하는 입학 정책으로 학생.. 2023. 11. 21. EBS 위대한 수업3 (엘리트 신화의 종말) 1강 엘리트는 누구인가 (2023.11.17 방송) EBS 위대한 수업3 (엘리트 신화의 종말) 1강 엘리트는 누구인가 위대한 아흔두 번째 강연 '엘리트 신화의 종말 '(시즌3 열한 번째) 미하엘 하르트만 독일 다름슈타트 공과대 사회학 명예 교수 (2019) (2017) (2011) 1강 엘리트는 누구인가 길거리에서 사람들에게 무작위로 '엘리트'의 의미를 묻는다면 '권력'이라는 답이 쉽게 나올 것이다 기본적으로 세 단어로 정의된다 엘리트 권력, 돈, 성과 보통 같이 언급되고 자주 같은 뜻으로도 사용된다 사람들은 권력과 돈을 가진 사람이나 특별한 성과를 이룬 사람을 엘리트라고 생각한다 이런 이원론적 개념은 처음부터 엘리트에 관한 학문적 담론에 각인되어 있었다 엘리트 이론의 두 창시자인 이탈리아의 가에타노 모스카와 빌프레도 파레토.. 2023. 11. 19. EBS 위대한 수업3 (자유무역과 세계화의 적들) 3강 누가 왕좌에 앉을것인가 (2023.11.16 방송) EBS 위대한 수업3 (자유무역과 세계화의 적들) 3강 누가 왕좌에 앉을것인가 위대한 아흔한 번째 강연 '자유무역과 세계화의 적들 '(시즌3 열 번째) 자그디시 바그와티 미국 컬럼비아 대학 경제학 교수 (1972) (1998) (2003) (2007) (2013) 3강 누가 왕좌에 앉을 것인가 세계는 두 편으로 나뉘었다 순전히 지정학적 이유 때문이었다 한쪽은 미국이 이끄는 선진국들이고 반대쪽은 리더도 없이 그저 같은 편으로 묶인 개발도상국들이다 개발도상국은 모두 자유화에 강력히 반대하는 입장이었는데 힘센 선진국들과 경쟁하는 것을 두려워했다 이런 지정학적 상황은 시간이 지나며 바뀐다 핵심! 미국이 패권을 잃었다 아무도 미국을 유일한 강대국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실상이 어떻든 사람.. 2023. 11. 17. EBS 위대한 수업3 (자유무역과 세계화의 적들) 2강 부자 나라는 무엇을 고민하나 (2023.11.15 방송) EBS 위대한 수업3 (자유무역과 세계화의 적들) 2강 부자 나라는 무엇을 고민하나 위대한 아흔한 번째 강연 '자유무역과 세계화의 적들 '(시즌3 열 번째) 자그디시 바그와티 미국 컬럼비아 대학 경제학 교수 (1972) (1998) (2003) (2007) (2013) 2강 부자 나라는 무엇을 고민하나 2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선진국 대 개발도상국 부국 대 빈국의 구도에서 세계 경제가 발전한 과정 전쟁 후 미국을 중심으로 한 부자 나라들은 자유 무역을 선호했다 이를 원동력으로 세계 경제에서 무역 자유화가 널리 확산됐다 반면 가난한 나라는 부자 나라와의 경쟁을 꺼렸고 무역으로 이득을 볼 수 있을지 자기들도 확신하지 못했다 그래서 가난한 나라들은 주저했다고 .. 2023. 11. 16. EBS 위대한 수업3 (자유무역과 세계화의 적들) 1강 도대체 어떤 세계화인가 (2023.11.14 방송) EBS 위대한 수업3 (자유무역과 세계화의 적들) 1강 도대체 어떤 세계화인가 위대한 아흔한 번째 강연 '자유무역과 세계화의 적들 '(시즌3 열 번째) 자그디시 바그와티 미국 컬럼비아 대학 경제학 교수 (1972) (1998) (2003) (2007) (2013) 1강 도대체 어떤 세계화인가 세계화에 대한 수많은 논쟁이 생기는 근본적인 이유를 알아보고 분열보다는 창의적인 시각으로 세계화를 해석해 보겠다 13개인데 13은 불운의 숫자다 철자 수가 13개인 탓에 세계화에 대한 논의는 실패할 수밖에 없다 농담이지만 지금까지도 세계화가 많은 논쟁을 낳고 있는 건 분명하다 ★ 세계화라는 말은 무엇을 뜻하는 걸까? ★ 세계화라는 말로 서로 다른 얘기를 한다면 합의를 끌어낼 수 없다 세계.. 2023. 11. 15. EBS 위대한 수업3 (자유무역의 역사) 7강 가트의 원칙과 WTO의 탄생 (2023.11.13 방송) EBS 위대한 수업3 (자유무역의 역사) 7강 가트의 원칙과 WTO의 탄생 위대한 아흔 번째 강연 '자유무역의 역사 '(시즌3 아홉 번째) 비노드 아가왈 UC버클리대 정치학과 석좌교수 버클리 APEC 연구센터 소장 「비즈니스와 정치」 편집장 7강 가트의 원칙과 WTO의 탄생 가트는 각국의 무역 자유화를 장려하는 기구였지만 공식적인 국제기구는 아니었다 GATT의 원칙 1. 무차별 원칙 모든 국가를 똑같이 대해야 한다 미국이 가트 및 WTO 회원국이고 한국과 영국도 같은 회원국이라면 미국이 한국에만 좋은 조건을 제시하면 안 된다는 것이다 (늘 그런 건 아니지만 이론상 그렇다는 것) 무차별 원칙은 실제로는 '최혜국 대우 조항'이라고 불렸다 예를 들어, 한국이 일본에 혜택을 제공한다.. 2023. 11. 14.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 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