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12

EBS 위대한 수업3 (초근접 미래를 위한 안내서) 2강 이 코드는 모든 것을 바꿀 것이다 (2023.12.04 방송) EBS 위대한 수업3 (초근접 미래를 위한 안내서) 2강 이 코드는 모든 것을 바꿀 것이다 위대한 아흔네 번째 강연 '초근접 미래를 위한 안내서' (시즌3 열세 번째) 후안 엔리케스 미래학자 하버드 경영대학원 생명과학 프로젝트 창립 이사 하버드 경영대학원 '최고의 교수'로 기록 하버드 의과대학 유전학 자문 위원회 위원 TED가 가장 사랑하는 미래학자 2강 이 코드는 모든 것을 바꿀 것이다 오늘날의 기술은 운석 같은 존재가 돼가고 있다 이 운석이 떨어지면 기존의 것들이 파괴되고 새로운 뭔가가 자라날 토양이 마련된다 ♣ 생명의 부호 생명의 부호는 인간이 발견한 가장 위대한 부호이다 매우 비효율적이었던 부호 체계가 점점 진화하고 있는 것이다 우린 동굴 벽에 그려진 상형 문자에서 출.. 2023. 12. 5.
EBS 위대한 수업3 (초근접 미래를 위한 안내서) 1강 미래를 바꾸는 것은 따로 있다 (2023.12.01 방송) EBS 위대한 수업3 (초근접 미래를 위한 안내서) 1강 미래를 바꾸는 것은 따로 있다 위대한 아흔네 번째 강연 '초근접 미래를 위한 안내서'(시즌3 열세 번째) 후안 엔리케스 미래학자 하버드 경영대학원 생명과학 프로젝트 창립 이사 하버드 경영대학원 '최고의 교수'로 기록 하버드 의과대학 유전학 자문 위원회 위원 TED가 가장 사랑하는 미래학자 1강 미래를 바꾸는 것은 따로 있다 Q. 인간과 동물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일까? 고래의 뇌는 정말 거대하다 원숭이도 다양한 걸 학습할 수 있고 앵무새도 단어를 배울 줄 안다 인간과 동물에겐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우린 다른 종과 달리 후대에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을 터득했다 원숭이도 단어는 배울 수 있고 개도 다양한 명령을 학습할 수 .. 2023. 12. 3.
EBS 위대한 수업3 (과학의 풍경) 5강 이 세계는 아름다운가? (2023.11.30 방송) EBS 위대한 수업3 (과학의 풍경) 5강 이 세계는 아름다운가? 위대한 아흔세 번째 강연 '과학의 풍경 '(시즌3 열두 번째) 프랭크 윌첵 MIT 물리학과 교수 스톡홀름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상하이 리정다오 연구소 창립 소장 윌첵 양자 센터 수석 과학자 템플턴상(2022) 노벨 물리학상(2004) 로런츠 메달(2002) 5강 이 세계는 아름다운가? 대칭성이 통하지 않더라도 배울 게 있었다 아름답다고 생각했던 세상의 모델이 통하지 않는다면 모델을 고치고 다시 시도할 수 있다 ★ 시간 역전 ★ 수백 년 전 뉴턴 역학을 시작으로 일반 상대성 이론과 양자 전기역학 등 수많은 혁신이 일어났다 그런데 다양한 물리학 법칙엔 이상한 특징이 있었다 시간이 거꾸로 흐른다고 가정해도 같은 법칙.. 2023. 12. 1.
EBS 위대한 수업3 (과학의 풍경) 4강 물리법칙의 이상형, 대칭 (2023.11.29 방송) EBS 위대한 수업3 (과학의 풍경) 4강 물리법칙의 이상형, 대칭 위대한 아흔세 번째 강연 '과학의 풍경 '(시즌3 열두 번째) 프랭크 윌첵 MIT 물리학과 교수 스톡홀름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상하이 리정다오 연구소 창립 소장 윌첵 양자 센터 수석 과학자 템플턴상(2022) 노벨 물리학상(2004) 로런츠 메달(2002) 4강 물리법칙의 이상형, 대칭 "아름다움이 진실로 이끈다" 아름다우려면 일단 간결해야 하고 조화로워야 한다 그 다음은 대칭이다 ◆ 대칭 대칭은 현대 과학에서 중요한 주제이다 대칭은 직관적인 당위성이다 인간은 대칭을 좋아한다 카펫에도 복잡하고 대칭적인 무늬가 있고 더 높은 차원에도 대칭이 있다 사람들이 궁극의 진리에 다가가고자 방문하는 건축물에도 대칭적 장식.. 2023. 11. 30.
EBS 위대한 수업3 (과학의 풍경) 3강 아름다움이란 무엇인가 (2023.11.28 방송) EBS 위대한 수업3 (과학의 풍경) 3강 아름다움이란 무엇인가 위대한 아흔세 번째 강연 '과학의 풍경 '(시즌3 열두 번째) 프랭크 윌첵 MIT 물리학과 교수 스톡홀름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상하이 리정다오 연구소 창립 소장 윌첵 양자 센터 수석 과학자 템플턴상(2022) 노벨 물리학상(2004) 로런츠 메달(2002) 3강 아름다움이란 무엇인가 오늘 할 이야기는 기술 발전에 관한 것이나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것이 아니라 과학을 탐구할 때는 '당위성'을 찾아야 무엇이 사실인지 똑바로 볼 수 있다 "아름다움이 진실로 이끈다" 아름다우려면 일단 간결해야 한다 사물을 분명하고 짧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조화로워야 한다 더할 나위 없이 잘 어울려서 만족스러운.. 2023. 11. 29.
EBS 위대한 수업3 (과학의 풍경) 2강 양자역학이 만든 세계 (2023.11.27 방송) EBS 위대한 수업3 (과학의 풍경) 2강 양자역학이 만든 세계 위대한 아흔세 번째 강연 '과학의 풍경 '(시즌3 열두 번째) 프랭크 윌첵 MIT 물리학과 교수 스톡홀름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상하이 리정다오 연구소 창립 소장 윌첵 양자 센터 수석 과학자 템플턴상(2022) 노벨 물리학상(2004) 로런츠 메달(2002) 2강 양자역학이 만든 세계 최근 우리는 양자역학의 가능성을 어렴풋하게나마 이해하기 시작했다 양자역학의 창시자들은 상상도 못 했을 가능성이다 놀라운 발전의 결과물에는 원자시계도 있다 이 안에 있는 원자는 마찰 없이 진동하는 이상적인 물질이다 물리학의 기본 법칙에 따라 설정된 진동수로 진동한다 그 진동을 아주 오래 지켜볼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원자시계의 오차는 1.. 2023. 11. 28.
EBS 위대한 수업3 (과학의 풍경) 1강 흄의 단두대를 피하는 방법 (2023.11.24 방송) EBS 위대한 수업3 (과학의 풍경) 1강 흄의 단두대를 피하는 방법 위대한 아흔세 번째 강연 '과학의 풍경 '(시즌3 열두 번째) 프랭크 윌첵 MIT 물리학과 교수 스톡홀름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상하이 리정다오 연구소 창립 소장 윌첵 양자 센터 수석 과학자 템플턴상(2022) 노벨 물리학상(2004) 로런츠 메달(2002) 1강 흄의 단두대를 피하는 방법 위대한 철학자 데이비드 흄은 이렇게 말했다 "과학에는 아무런 목적성이 없다" 과학적인 '사실'의 영역과 비화학적인 '가치'의 영역에는 메울 수 없는 간극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흄의 주장은 영향력과 설득력이 꽤 강해서 철학자들은 이를 '흄의 단두대'라고 불렀다 사실과 가치를 엮으려 들면 죽는다는 것이다 이번 강연에서 이 단두대.. 2023. 11. 26.
EBS 위대한 수업3 (엘리트 신화의 종말) 5강 글로벌 엘리트 과연 있는가 (2023.11.23 방송) EBS 위대한 수업3 (엘리트 신화의 종말) 5강 글로벌 엘리트 과연 있는가 위대한 아흔두 번째 강연 '엘리트 신화의 종말 '(시즌3 열한 번째) 미하엘 하르트만 독일 다름슈타트 공과대 사회학 명예 교수 (2019) (2017) (2011) 5강 글로벌 엘리트는 과연 있는가 세계화의 전성기라 할 수 있는 1995년부터 2015년 사이에 저명한 학자와 기업가, 정치인과 언론인 등이 한결같이 같은 맥락의 발언을 했다 "국가 엘리트의 시대는 끝났다 이제 글로벌 엘리트가 등장해 전 세계를 무대로 활동한다" 이들의 주장은 경제 세계화와 기업 간 다양한 상호 의존의 결과로 처음에는 경제 엘리트들이 글로벌화되고 이어서 다른 분야의 엘리트들도 점점 글로벌화될 거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들 .. 2023. 11.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