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11

EBS 위대한 수업3 (예술이 된 서커스) 1강 왜 태양의 서커스인가 (2024.01.12 방송) EBS 위대한 수업3 (예술이 된 서커스) 1강 왜 태양의 서커스인가 위대한 아흔아홉 번째 강연 '예술이 된 서커스' (시즌3 열여덟 번째) 다니엘 라마르 태양의 서커스 부회장 캐나다 TV채널 TVA CEO(1997-2000) CEO (2000-2021) 캐나다 훈장 수훈(2018) 1강 왜 태양의 서커스인가 태양의 서커스가 세계적인 브랜드로 성장한 비결 태양의 서커스 창립자 기 랄리베르테, 제임스 카메론, 비틀즈 등 오랜 시간에 걸쳐 세계 최고의 창작자들과 일하면서 많은 것을 배웠다 ★ 태양의 서커스의 탄생 ★ 몇몇 거리 공연 아티스트가 길거리에서 열심히 돈을 벌고 있었다 이들에겐 세상을 순회하는 큰 꿈이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퀘벡주 정부가 이들을 지원하게 된다 태양의 서.. 2024. 1. 15.
아주 편안한 죽음_시몬 드 보부아르 아주 편안한 죽음 지은이 시몬 드 보부아르 옮긴이 강초롱 펴낸곳 (주)을유문화사 값 12,000원 절절한 감정의 호소 없이도 이렇게 공감을 살 수 있는 이야기를 끌어올 수 있는 것이 인상적이었고 아직 작가와 같이 죽음을 곁에서 목도한 경험이 없음에도 한 인간의 삶과 죽음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준 작품이다 또한 부모와 자식 간의 사이와는 또 다른 모녀간의 관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과 죽음을 앞두고 화해하는 과정 또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부분이었다 내게 있어서 엄마의 죽음은 탄생과 마찬가지로 신화적인 시간의 차원에 속한 것이었다_p.26 작가의 자전적 이야기이기도 한 이 소설에서 시몬은 어머니의 벌거벗은 몸을 마주하며 그동안 자신이 어머니에게 가졌던 감정과는 또 다른 감정과 마주하.. 2024. 1. 14.
시지프 신화_알베르 카뮈 시지프 신화 지은이 알베르 카뮈 옮긴이 김화영 펴낸곳 (주)민음사 값 12,000원 첫 느낌은 '속았다'였다 그리고 두 번째 느낌은 '난해하다' 제목과 달리 신화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다 굉장히 철학적이면서 난해한 문구로 도배가 되어 있어서 완독을 하는데 꽤나 애를 먹었다 그러나 읽기는 했으나 정말 읽었다고 할 수 있는지 의문이 들기도 한다 이 책에서 이야기하는 '부조리'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는 데 매우 긴 시간을 할애하고 있는데 오히려 그것들이 '부조리'의 개념을 이해하기 더 어렵게 만드는 듯하다 내가 이해한 대로 설명을 하자면 '부조리'라는 것은 삶 그 자체의 모습이다. 또한 삶을 대하는 자세이다 우리는 태어나면서부터 유한한 삶을 갖게 된다 그리고 그 삶 속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일은 결국 그 한정된 시.. 2024. 1. 13.
EBS 위대한 수업3 (일본은 왜 저출생 국가가 되었나) 5강 왜 연애까지 안 하나 (2024.01.11 방송) EBS 위대한 수업3 (일본은 왜 저출생 국가가 되었나) 5강 왜 연애까지 안 하나 위대한 아흔여덟 번째 강연 '일본은 왜 저출생 국가가 되었나' (시즌3 열일곱 번째) 야마다 마사히로 일본 주오 대학 사회학 교수 일본가족사회학회 회장 내각부 양성평등회의 민간위원 '패러사이트 싱글', '격차 사회', '혼활' 개념 창안 주요 저서 '일본의 저출산 대책은 왜 실패했는가?' '가족 난민' 등 5강 왜 연애까지 안 하나 연애의 쇠퇴와 가상 관계 일본에서는 혼인율이 감소하는 동시에 새로운 현상이 진행되고 있다 애인이 있는 사람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는 것이다 국립사회보장 인구문제연구소가 약 5년에 한 번씩 애인이 있는 미혼자의 수를 조사하고 있는데 2005년 남성의 27.2%, 여성의.. 2024. 1. 12.
EBS 위대한 수업3 (일본은 왜 저출생 국가가 되었나) 4강 패러사이트 싱글 (2024.01.10 방송) EBS 위대한 수업3 (일본은 왜 저출생 국가가 되었나) 4강 패러사이트 싱글 위대한 아흔여덟 번째 강연 '일본은 왜 저출생 국가가 되었나' (시즌3 열일곱 번째) 야마다 마사히로 일본 주오 대학 사회학 교수 일본가족사회학회 회장 내각부 양성평등회의 민간위원 '패러사이트 싱글', '격차 사회', '혼활' 개념 창안 주요 저서 '일본의 저출산 대책은 왜 실패했는가?' '가족 난민' 등 4강 패러사이트 싱글 패러사이트 싱글 1997년에 만든 말로 부모와 같이 사는 미혼 성인을 말한다 그 전까지만 하더라도 결혼하지 않은 젊은 사람은 대부분 혼자 살 거라고 여겨졌다 하지만 조사를 해 봤더니 결혼하지 않은 대부분의 성인은 부모와 함께 산다는 것이 밝혀졌다 유럽이나 미국은 자식이 성인이.. 2024. 1. 11.
EBS 위대한 수업3 (일본은 왜 저출생 국가가 되었나) 3강 아이를 안 낳는 진짜 이유 (2024.01.09 방송) EBS 위대한 수업3 (일본은 왜 저출생 국가가 되었나) 3강 아이를 안 낳는 진짜 이유 위대한 아흔여덟 번째 강연 '일본은 왜 저출생 국가가 되었나' (시즌3 열일곱 번째) 야마다 마사히로 일본 주오 대학 사회학 교수 일본가족사회학회 회장 내각부 양성평등회의 민간위원 '패러사이트 싱글', '격차 사회', '혼활' 개념 창안 주요 저서 '일본의 저출산 대책은 왜 실패했는가?' '가족 난민' 등 3강 아이를 안 낳는 진짜 이유 자식을 고생시키키 싫은 부모 일본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공통 성향으로 저출생 문제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미국인이 오히려 일본인 부모보다 잘 놀아 주지만 자녀에 대한 책임감만 놓고 보면 일본은 유럽, 미국과는 큰 차이가 있는 것 같다 일본에선 자식의 미래.. 2024. 1. 10.
EBS 위대한 수업3 (일본은 왜 저출생 국가가 되었나) 2강 격차 사회가 바꾼 결혼 (2024.01.08 방송) EBS 위대한 수업3 (일본은 왜 저출생 국가가 되었나) 2강 격차 사회가 바꾼 결혼 위대한 아흔여덟 번째 강연 '일본은 왜 저출생 국가가 되었나' (시즌3 열일곱 번째) 야마다 마사히로 일본 주오 대학 사회학 교수 일본가족사회학회 회장 내각부 양성평등회의 민간위원 '패러사이트 싱글', '격차 사회', '혼활' 개념 창안 주요 저서 '일본의 저출산 대책은 왜 실패했는가?' '가족 난민' 등 2강 격차 사회가 바꾼 결혼 일본의 저출생과 가족의 미래 현재 80세인 사람들은 무려 97%나 결혼을 했다 별 노력을 안 해도 결혼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 실제로도 대부분 짝을 만나 결혼했다 "여러분 중 25%는 평생 결혼을 못할 겁니다 결혼한 사람도 안심할 수 없죠 지금 일본에서는 3.. 2024. 1. 9.
EBS 위대한 수업3 (일본은 왜 저출생 국가가 되었나) 1강 저출생이 아니라 '미혼화' (2024.01.05 방송) EBS 위대한 수업3 (일본은 왜 저출생 국가가 되었나) 1강 저출생이 아니라 '미혼화' 위대한 아흔여덟 번째 강연 '일본은 왜 저출생 국가가 되었나' (시즌3 열일곱 번째) 야마다 마사히로 일본 주오 대학 사회학 교수 일본가족사회학회 회장 내각부 양성평등회의 민간위원 '패러사이트 싱글', '격차 사회', '혼활' 개념 창안 주요 저서 '일본의 저출산 대책은 왜 실패했는가?' '가족 난민' 등 1강 저출생이 아니라 '미혼화' 심각해지는 일본의 저출생 실태 저출생 지표 1 합계 출산율(Total Fertility Rate) 여성 1명이 평생 낳는 평생 자녀의 수 합계출산율이 2.1이면 여성 1명이 평생 약 2명의 아이를 낳는다는 뜻인 인구수에 큰 변화는 없을 것이다 반대로 합계.. 2024. 1.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