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1.01 방송)
EBS 위대한 수업3 (환경의 역사) 6강 대가속 시대
위대한 아흔일곱 번째 강연 '환경의 역사' (시즌3 열여섯 번째)
존 로버트 맥닐 조지타운대 역사학과 교수
미술 예술과학아카데미 회원
하이네켄 역사상(2018)
미국역사학회 회장(2019~)
6강 대가속 시대
대가속(The Great Acceleration)
: 대가속은 약 1945년부터 지금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환경 변화의 급속한 팽창을 의미한다
전 세계적으로 환경 변화의 규모와 범위, 속도가 커지고 있다
거의 모든 형태의 환경 변화가 일어났다
대가속이 중요한 이유는
오늘날 대다수가 대가속 시대를 경험했기 때문이다
사실 우리는 전례 없는 환경 변화를 겪고 있다
이런 규모의 환경 변화는 인류사에 없었다
우리에게는 그게 정상처럼 보인다
이러한 대가속은 20세기 중반부터 이어지고 있다
온실가스 배출
온실가스에는 여러 종류가 있고 지구 온난화 현상을 일으킨다
어쩌면 9배일 수도 있다
생선과 해양 포유류를 잡는 것은 보통 먹기 위해서다
강의 흐름을 막는 댐이 세계 곳곳에 세워졌다
댐 뒤에 있는 저수지가 수용할 수 있는 물의 양은
1950년 이후 21배나 늘었다
새롭게 만들어진 댐은 대부분 규모가 더 컸다
바닷물의 산성화
바닷물의 산성화는
대기 중에 있는 탄소의 양이 늘어난 결과이다
이는 기후에만 영향을 끼치는 게 아니다
대기 중의 탄소는 바닷물에 녹아들어
바닷물에 포함된 산의 농도를 높이기도 한다
한편 '침전물 흐름' 현상은
1950년 이후로 약 4배 가까이 늘어났다
침전물 흐름이란 먼지나 흙 등의 침전물이
강에 실려 흘러가다 가라앉는 걸 의미한다
주로 강바닥이나 강이 호수나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 지점에 가라앉는다
그 밖에도 여러 지표를 찾아볼 수 있다
그중에는 생물종의 멸종처럼 수치화하기 힘든 것도 있다
하지만 1950년대 이후, 생물종의 멸종률은
몇 배나 늘었을 가능성이 크다
일부 지표는 기하급수적으로 변했다
시작점 자체가 아주 작았다
플라스틱이 그런 경우이다
오늘날 바닷속에는 수십억 톤의 플라스틱이 떠돌고 있지만
1950년의 바닷속에는 플라스틱이 거의 없었다
규모, 범위, 속도 면에서 볼 때
대가속 시대의 환경 변화는 전례 없는 일이었다
30만 년에 달하는 인류사의 그 어떤 시점에도
또 지난 6,500만 년의 지구사에도 이런 일은 없었다
더욱 흥미로운 것은 지난 75년 동안
이러한 변화가 일어난 이유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에너지 체계이다
19세기에 인류가 고안한 에너지 체계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로 더욱 강화되었다
환경 변화의 요인
1. 화석 연료
이 에너지 체제의 중심은 화석 연료다
석탄, 석유, 천연가스 등이다
1950년대 이후로 인류의 에너지 사용 규모는
약 6배가량 커졌다
그중 80-90% 가량은 모두 화석 연료였다
화석 연료는 직·간접적으로 환경에 여러 영향을 준다
폭풍으로 탱크가 부서지거나 송유관이 샐 수도 있다
지난 75년 동안 수백 번의 대규모 석유 유출 사고가 일어났다
소규모 유출 사고는 거의 날마다 일어난다
게다가 화석 연료 체제는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준다
상대적으로 값싼 에너지원을 확보했기 때문에 생긴 결과다
값싼 에너지는 다양한 일을 경제적으로 할 수 있게 해 준다
예를 들어 전기톱을 이용하면 아마존 열대우림의
15~20%를 벌목할 수 있다
만약 전기톱과 석유로 움직이는 트럭이 없다면
또 통나무를 베거나 옮기는 대형 기계 장치가 없다면
수동식 톱과 도끼로 직접 나무를 베야 했다면
아무도 아마존 열대우림을 벌목하지 않았을 것이다
너무 비싸기 때문이다
하지만 값싼 에너지가 이걸 가능케 했다
20세기 중반 이후 화석 연료 체제가 강화되면서
이전의 환경 문제 또한 규모가 커졌다
19세기까지만 해도 도시 지역만의 문제였으나
1950년 이후 석탄의 연소량이 많아졌고
석유를 쓰기도 했기 때문에 대기 오염의 규모가
100년 전보다 훨씬 커졌다
많은 경우에 도시뿐만 아니라 더 넓은 지역으로 퍼졌다
또한 중국 북부의 경우는 20세기 후반에서 21세기 초
그전엔 없던 지역적인 대기 오염이 발생했다
국가적인 규모의 오염이었다
석탄 연소로 발생한 중국 북부의 대기 오염 물질 중 상당량은
서풍에 실려 일본과 한국으로 이동했다
20세기말, 전 세계에서는 광범위한 지역적 대기 오염으로
해마다 수십만 명이 사망했다
대부분 폐 질환이 심해져 목숨을 잃었다
에너지 체계는 현대 환경사가 이토록 혼란스러운 첫 번째 이유다
2. 인구 증가
두 번째 이유는 바로 인구의 증가다
1950년에 전 세계의 인구는 약 25억 명 정도 됐다
2023년의 세계 인구는 약 80억 명쯤 된다
즉 지난 73년 동안 세계 인구가 약 3.2배 늘어난 셈이다
이는 환경 변화에 다양한 영향을 끼쳤다
그 예로 숲의 벌목은 개척 농업과 관련 있다
서아프리카와 중앙아메리카에서는
사람들이 식량을 생산하기 위해 숲 속으로 이주하기도 한다
이는 인구 증가의 직접적인 결과이다
개척 농업으로 중앙아메리카와 서·중앙아프리카의 숲이 파괴됐다
하지만 인구 증가와 무관한 다른 형태의 환경 변화도 있다
원자력 사고는 인구 증가와는 전혀 관련 없다
온실가스 배출과 기후 변화의 경우에는
인구 증가의 영향이 어느 정도 있다고 봐야 한다
환경 변화라는 개념을 각 구성 요소로 나눠 보면
인구 증가의 영향력을 분석할 수 있다
실제로 분석해 보면 인구 증가의 영향력이
에너지 체제보다 훨씬 중요하다
위대한 수업 Great Minds
위대한 수업 그레이트 마인즈, 전세계 최고의 지성을 한 자리에!
home.ebs.co.kr
EBS 1TV 월~금 23:40 ~ 24:00 (본방)
EBS 1TV 토 24:45 ~ 26:15 (종합) / EBS 2TV 금 24:00 ~ 26:00 (종합)
'상식과 지식 사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EBS 위대한 수업3 (환경의 역사) 8강 인류세 논쟁 (0) | 2024.01.04 |
---|---|
EBS 위대한 수업3 (환경의 역사) 7강 정치와 환경 (0) | 2024.01.03 |
EBS 위대한 수업3 (환경의 역사) 5강 동아프리카코끼리 이야기 (0) | 2024.01.01 |
EBS 위대한 수업3 (환경의 역사) 4강 산업혁명과 향유고래 이야기 (0) | 2023.12.29 |
EBS 위대한 수업3 (환경의 역사) 3강 콜럼버스 교환 (0) | 2023.12.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