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식과 지식 사이

EBS 위대한 수업(일상의 철학) 제1강 요약정리

by 상팔자 2022. 5. 20.
반응형

EBS 위대한 수업(일상의 철학) 제1강 요약정리

 

위대한 서른아홉 번째 강연 '일상의 철학'

 

철학자 리하르트 다비트 프레히트 

독일 공영방송 ZDF [프레히트 쇼] 진행자(2012~)

<나는 누구인가>(2007)-40여 개 언어로 번역 출간

<사냥꾼, 목동, 비평가>(2020), 의무란 무엇인가(2021)

 

 

 

제1강 일은 왜 하는가

 

 

■ 노동

 

  - 노동을 뜻하는 단어 Arbeit는 중세 시대 독일어인 Arebeit에서 유래했다

    · Arebeit는 고됨, 고역, 고생, 씨름하다 등의 뜻이다

    · Arebeit는 고대 그리스어 Ponos 로마어 Laborare를 번역한 것이다

     여기에서 영어의 Labor(노동), Lab(연구실) 등의 단어가 유래했다

노동의 어원

    · 로마어 Laborare는 고대에 노예와 여성, 외국인의 노동을 지칭했다

      → Laborare는 타인을 위한 노동을 뜻한다, 비천한 노동을 지칭하는 단어

      → 당시 사회는 Laborare를 행하는 이들을 경멸했다

 

  - 노동을 뜻하는 두 번째 단어 Facere

    · Facere는 '만들다', '생산하다'라는 뜻이다

    · Facere는 자신을 드러내는 노동이다 → 장인의 노동(사원 건설, 공예)

    · Facere는 Laborare와 공통점이 없었다

  - 영국의 철학자 존 로크(1632~1704)에 의해서 두 의미는 합쳐졌다

    · 그는 Labor 안에 노동의 다양한 의미를 통합했다, 그로 인해 중요한 경계가 흐려졌다

통합된 노동의 의미
그러나, 두 의미는 공통점이 거의 없었다

    · 두 단어의 유일한 공통점은 대가를 위한 노동이었다는 것

    · 로크는 보수를 받는 일을 모두 노동이라고 했다

 

  - 오늘날 노동이라는 말은 주의해서 써야 한다

    · 보수를 받지 않는 일은 노동이 아니란 뜻이 될 수 있다(가령 노모를 돌보는 일이나 육아)

    · 실제로 노동이란 개념은 거센 비판을 받았다, 보수를 받는 일만 노동이라 취급했기 때문이다

    · 돈 버는 일에만 온 정신을 쏟는 상황공산주의를 탄생시켰다

    · 19세기 중반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공산주의를 처음으로 정의했다

      → 이것은 분업의 폐지를 뜻한다

    ·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노동을 자기실현으로 봤다, 현재는 물론 미래에도 노동은 자기실현이 돼야 한다는 것

    · 두 사람은 무언가를 생산하고 만드는 Facere로서의 노동만 가치를 인정했다

      반면 Laborare, 타인을 위한 노동은 인정하지 않았다 → 노동이 아니라 소외된 노동

    · 노동이 본연의 모습을 되찾아야 한다   

노동의 본래 모습

    · 마르크스와 엥겔스가 '공산주의'란 단어를 처음 사용한 것은 소외된 노동을 철폐하고

      원하는 일을 노동환경으로 들어갈 것을 주장하던 때       

   < 많은 젊은이가 하는 질문들 >
     ☞ 무엇을 위해 일하는가?
     ☞ 일의 목적은 어디에 있는가?
     ☞ 나에게 일의 의미란?
     ☞ 너무 많이 일하나?
     ☞ 일과 삶의 균형은 괜찮은가?

        ▶▶ 공산주의란 말만 없을 뿐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질문과 비슷하다

 

    · 오늘날에는 이를 신노동이라 부른다(과거와는 다른 노동 사회를 뜻한다)

      우리는 스스로 일을 선택할 수 없는 노동 사회에서 살았다

      과거에는 소수의 사람만 일을 고를 수 있었다

    · 오늘날에는 많은 사람이 의미 있는 일을 하며 일에서 행복을 느끼고자 한다

      심지어 더 나은 세상을 만들고자 한다

현재 서구 산업사회는 임금노동사회에서 의미 지향 사회로 전환하고 있다

 

    · 임금노동 사회에서는 좋든 싫든 일이 삶의 중심이었다

    < 오늘날의 의미지향 사회에서 하는 질문들 >
      ☞ 나는 무엇을 하고 싶은가?
      ☞ 나를 행복하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
      ☞ 나를 만족시키는 일은 무엇인가?
      ☞ 일의 의미나 목적은 무엇인가?
      ☞ 일이 좋은 성과를 내고 재미있는가?

    · 노동 사회도 변하고 있다, 그 중심엔 기술이 있다

      인간은 기술을 통해 지난 수백 년에 걸쳐 고되고 궁핍한 일을 줄일 수 있었다

    · 백 년 전만 해도 독일인의 대다수가 고된 육체노동을 했지만 오늘날에는 거의 없다

    · 육체노동 대신 지루한 정신노동이 들어왔다(노동자의 후손은 회사원이 됐다)

      여기서 행해지는 노동은 앞으로 수십 년 안에 지능적인 기계가 대신할 것이다(딥러닝, 인공지능)

    · 이제는 정신노동을 없애는 과정에 있다

        → 많은 사람이 노동을 새로운 관점으로 볼 수 있는 주목할만한 발전이다

 

  Q. 사람들은 왜 일을 하는가?

      독일에서는 생존을 위해 일을 할 필요가 없다복지 제도가 잘 갖춰져 있기 때문

      일하는 이유를 자기실현으로 보기도 어렵다 → 독일인의 과반수가 일하는 게 즐겁지 않다고 했다

독일의 일 만족도

     그런데도 일하는 이유는

      모두가 일하기 때문이다

      일하지 않는 자는 사회에서 소외된다 → 임금노동 사회의 특징

임금노동 사회의 특징

      부유한 사람들은 고용 시장에서 배척당하지 않고 존경받는다

      가난한 자들만이 사회로부터 게으르다는 손가락질을 받는다 → 일할 능력이 되면 일을 해야 한다

 

  ☞ 사람이 하던 일을 지능적인 기계가 수행하게 된다면 어떻게 될까?

      그때도 일하지 않는 사람들을 경멸할 수 있을까?

 

  - 풍요로운 사회의 분배의 문제

    · 수십 년 안에 많은 선진국이 조건 없는 기본소득을 도입할 것이다

    · 기존 복지국가는 사라지고 앞으로 국가는 일하든 말든 간섭하지 않을 것이다

      대신 생계에 필요한 일정 금액을 지급할 것이다

    · 우리는 기술의 열매를 어떻게 수확하고 분배할지 생각해야 한다

    · 세금의 가장 큰 부분은 노동 과세

      그러나, 경제는 더 이상 노동에 기반하지 않는다

    · 경제는 돈의 노동으로 구성된다 → 금융

      금융에서 돈은 컴퓨터 작업으로 증식된다(초단타매매로 수십억을 거래하는 과정을 통해서)

    · 미래에는 돈을 주고받는 금융 거래에 대한 세금이 노동보다 높아야 하지 않을까?

      그렇게만 된다면 기본소득을 제공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될 것

      또한 감세를 통해 실물경제를 강화할 수 있다

      → 금융경제의 급성장으로 생겨난 부의 양극화도 크게 줄어들 것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