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열여섯 번째 강연 '여분 차원과 암흑 물질'
하버드대 물리학과 교수 리사 랜들
<뉴스위크> 2006년 주목할 인물
<타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
<롤링 스톤> 변혁의 사자 100인
제1강 보이지 않는 차원
■ 우주의 '숨겨진 차원'
- 여분 차원에 주목하는 이유
1. 물리학적 가능성
2. 이론적 일관성
3. 기존 연구와의 연결성
- 여분 차원 : 시공간의 본질과 관련, 3차원 공간 외에 여분 차원도 존재할 수 있다
- 이 세상에 영향을 미치는 숨겨진 존재가 있을 수 있다
- 여분 차원에 대해 생각해야 하는 이유
1. 초끈이론 : 양자역학과 중력을 통합하는 이론, 여분 차원이 전제 조건이다
♣ 초끈(super-string) : 진동하고 있는 끈으로 모든 입자의 근본적인 모습
크기는 10에 -35승 m로 쿼크보다 1억 배 이상 작다
· 여분 차원은 일상에서 확인 불가
2. 4차원 시공간만 존재해야 한다는 법은 없다
3. 표준 모형(standard model) : 알려진 모든 입자와 이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기술하는 유효 이론
- 차원이란?
: 전후, 좌우, 상하 / 위도, 경도, 고도 / 더 많은 차원이 존재할 수 있다
· 공간적 차원 : 물체의 위치를 특정하는 데 필요한 수량
→ 공간 차원을 상상 하는데 도움을 주는 도구 ① 사영
→ 공간 차원을 상상 하는데 도움을 주는 도구 ②단면 자르기
1884년 에드윈 A. 애벗이 집필한 플랫랜드라는 수학 소설에 나오는 방식으로
2차원에 산다면 3차원은 어떻게 보일까? (2차원에 살지만 3차원의 존재는 알고 있다)
☞ 물리학에서 여분 차원이란?
테오도어 칼루차(1885-1954)는 여분 차원이 있다는 가설을 내놓는다
오스카르 클리안(1894-1977)는 여분 차원은 아주 작게 말려 있다고 함
→ 너무 작아서 안 보임. 2차원이 1차원으로 보일 수도 있다
물리학의 역사는 보이지 않는 영역에서 발견한 것들의 역사(200년 전에는 아무도 몰랐던 원자의 구조)
♣ 입자 가속기(particle accelerator) : 원자핵이나 소립자와 같이 작은 입자의 미세 구조를 밝히기 위한 기계
라만 선드럼(1964~) : 미국의 이론 물리학자, 새로운 여분 차원인 막을 제시
♣ 비틀린 중력(warped gravity) : 특수한 형태로 휘어진 5차원 시공간에 존재하는 중력
♣ 막 : 여분차원이 있더라도 모든 것이 여분 차원에서 움직이는 것은 아니다. 막에 갇혀 있을 수도 있다
중력은 여분 차원으로 이동, 중력은 막 세계의 사물에 영향
제2강 스케일의 문제
■ 관측할 수 있는 세상, 관측 너머의 세상을 이해하는 방법
- 해상도가 중요한 이유 : 우리의 사고에 영향을 줌
인간의 직관은 관찰한 것에 좌우됨
- 큰 스케일
· 스케일은 달라도 동일한 물리학 법칙 적용
- 작은 스케일
· 해부를 통해 인간의 순환계에 대해 앎 → 무엇이 존재하는지 확실히 아는 법은 보는 것
(적혈구 세포의 크기, DNA의 폭) → 인간은 육안으로 볼 수 없는 도구를 개발해 관찰함
- 스케일에 따라 설명하는 방법도 달라짐
★ 모든 과학의 근본 원리로 여겨지던 뉴턴의 역학 이후 20세기 초 발견된 원자 이하의 세계, 양자역학의 세계가 시작
원자 스케일에서는 양자 역학을 적용, 물리학 자제를 뒤흔든 양자 역학
♣ 소립자(elementary particle) : 다른 입자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입자
=≫ 우주에 대한 이해는 관찰에 달려 있다
- 스위스와 프랑스 국경에 있는 대형 강입자 충돌기로 최첨단 연구가 진행 중, 입자 물리학의 표준 모형을 얻음
양성자가 충돌하면 거대한 에너지(14조 전자볼트)가 발생
높은 에너지에서 양성자끼리 충돌할 때 새로운 입자가 생길 수도 있다 → 미세한 영역도 관측 가능
♣ 대형 강입자 충돌기(LHC, Large Hadron Colllider)
: 인류가 얻을 수 있는 최고 에너지로 양성자를 가속해 충돌시키는 장치
♣ 표준 모형(standard model) : 알려진 모든 입자와 이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기술하는 유효 이론
♣ 유효 이론(effectiv theory) : 이론이 적용되는 특정 스케일에 한해 측정 가능한 입자와 힘을 기술하는 이론
제3강 새로운 입자 찾기
- 물질 간의 상호 작용을 알려주는 4가지 힘
· 중력, 전자기력, 약력, 강력
· 강력(Strong Force) : 양성자와 중성자 안의 쿼크들을 묶어 두는 힘
· 쿼크(quark) : 강입자를 이루는 기본 입자로 쿼크 세 개가 모여 양성자와 중성자를 이룸
- 1980년대 실험적 검증을 마친 표준 모형 이론
· 힉스 입자의 발견으로 한 걸음 가까워진 표준 모형의 완성
♣ 힉스 입자(Higgs boson) : 표준 모형이 제시하는 기본 입자 가운데 하나
2013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피터 힉스(1929~)의 이름에서 따옮
♣ 힉스 메커니즘(Higgs mechanism) : 양자장론에서 소립자들이 질량을 얻게 되는 과정
- 양자역학과 상대성이론을 합친 양자장론에 따르면 질량은 훨씬 클 수 있다.
→ 힉스 입자의 질량은 125.9GeV/c로 질량이 더 커지지 않는가?
→ 계산한 질량(무거움)과 실제 관측된 질량(가벼움)이 같지 않다(계층 문제)
- 계층 문제를 이해하는 또 다른 방법, 중력
· 입자의 중량이 작으면 중력이 약해짐
· 중력의 크기는 질량에 비례 : 예상보다 가벼운 소립자의 질량
- 질량 값의 차이를 보이지 않으려면 표준모형의 변수들이 특정한 값을 갖도록 정밀하게 미세 조정을 해야 한다
♣ 미세 조정 : 가벼운 힉스 입자를 얻기 위해 특정 변숫값을 빼는 조정 과정
■ 여분 차원으로 설명하는 계층 문제
- 여분 차원의 위치마다 다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 랜들-선드럼 모형(Randall-sundrum model) : 5차원 시공간이 특수한 형태로 휘어진 물리 모형
- 중력의 크기는 여분 차원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 공간 3차원 + 시간 1차원 : 4차원 시공간 외에도 여분 차원이 하나 더 있다
· 3차원에 갇힌 존재라도 여분 차원을 통해 상호 작용이 가능, 중력 막을 벗어나면 중력은 약해지고 질량도 작아짐
- 여분 차원이 있다면 우리는 중력이 약한 곳에서 살게 되고 계층 문제로 설명이 된다
- 크기, 질량, 중력이 여분 차원에 따라 달라진다
· 힉스 입자, 소립자 스케일에서 실험 가능
· 에너지가 높을수록 입자를 발견할 확률이 높다
♣ 칼루차-클라인 입자 : 입자가 여분 차원에서 운동하면 더 무거운 입자를 수반할 수 있다
진짜 입자는 아님, 입자들이 여분 차원에서 갖는 운동량의 증거
제4강 이름 없는 영웅, 암흑 물질
■ 암흑 물질이란 무엇인가?
- 암흑 물질과 공룡(2015) : 저자 리사 랜들, 우주의 놀라운 상호 연결성에 관한 내용으로 강의 내용과 관련
· 인간에 의한 지구의 변화(책을 쓴 동기) : 무엇이 영향을 주었는가, 얼마나 시간이 걸렸나, 인간에 의한 변화 속도
· 우주파이에서 원자는 5%에 불과, 암흑 물질 26%, 암흑 에너지 69%
· 암흑 물질은 표준 모형의 입자가 아닐 가능성이 높다
♣ 우주 파이(cosmic pie) : 우주의 에너지 분포를 원형 그래프로 표현한 것
♣ 암흑 물질 : 중력과 상호 작용, 빛과 상호 작용하지는 않음
♣ 암흑 에너지(dark energy) : 전 우주에 걸쳐서 분포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 가상의 에너지
- 암흑 물질은 중력을 통해 상호 작용을 하지만 다른 상호 작용(전자기력, 강력, 약력)은 거의 없거나 미미함
· 암흑 물질이 어떤 입자로 구성되었는지 아직 알 수 없으나 보통 물질보다 5배 많음
- 암흑 물질을 직접 볼 수는 없지만 영향은 관찰 가능함
1. 은하 회전 곡선 : 기대한 예상 속도보다 더 빠른 것으로 관측된 은하가 도는 속도
중력을 만들지만 빛을 내지는 않음
♣ 은하단(galaxy cluster) : 수백에서 수천 개의 은하로 이루어진 거대한 은하 집단
2.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cosmic microwave background)
: 아노 앨런 펜지어스(1933~), 로버트 우드로 윌슨(1936~)이 1963년 우연히 발견한 우주 배경 복사
관측 가능한 우주를 균일하게 채우고 있는 마이크로파 전자기 복사
암흑 물질의 양을 말해주는 우주 배경 복사
균일한 우주에서 시작해 작은 변화가 은하계를 생성 → 은하계 형성에 필요한 충분한 중력을 만든 암흑 물질
3. 중력 렌즈 효과
: 중력 렌즈 현상 관찰을 통해 암흑 물질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4. 총알 은하단(bullet cluster) : 은하들의 집합인 은하단이 최소 두 개 이상 융합해 만들어지는 은하단
보통 물질과 암흑 물질은 중력만 제외하면 상호 작용하지 않는다
제5강 암흑 물질과 대멸종
- 암흑 물질은 존재하지만, 알 수 없는 것으로 완벽한 연구 대상임
- 입자 물리학의 표준 모형과 밀접하게 관련된 윔프 입자
- 모형 구축을 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접근법을 찾을 수도 있다
♣ 윔프(WIMP, weakly interacting massive particles)
: 약하게 상호 작용하는 질량을 가진 입자 이론상의 가상 입자
특징) 1. 힉스 입자와 비슷한 질량, 2. 보통 물질과 중력 외 상호 작용
선호 이유) 1. 암흑 물질의 양과 비슷, 2. 실험으로 검증 가능
방법) 1. LHC(대형 강입자 충돌기), 2. 지하의 직접 검출기, 3. 위성, 망원경으로 우주 관측
♣ 모형 구축(model building) : 현상을 설명할 가능성이 있는 후보 이론을 만드는 것
- 암흑 물질도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보통 입자는 광자를 통해 상호 작용하되 암흑 물질에는 작용하지 않듯 암흑 물질 사이에 상호 작용을
매개하는 빛 또는 광자가 있을 수도 있다
- 이중 원반 암흑 물질(Double-Disc Dark Matter)
· 보통 입자가 아닌 것으로 만들어진 원반이 있다면 암흑 물질을 발견할 수 있다
- 우주의 운석으로 지구에서 많은 충돌이 발생 → 주기적으로 발생
- 태양계는 은하계에서 공전하며 위아래로 진동한다 → 주기적으로 암흑 물질을 통과하게 된다
오르트 구름 속 암흑 물질 원반을 통과할 때마다 천체 이탈할 때 지구의 충돌 발생 가능성이 있음
♣ 오르트 구름(Oort cloud) : 태양계를 공 모양으로 둘러싸고 있는 가상의 천체 집단
- 공룡의 대멸종 원인이 암흑 물질 원반 때문일 수 있다
- 입자 물리학 현상과 우리가 관측하는 것에는 연관성이 있다
- 암흑 원반 이론은 지금도 진행 중이나 암흑 물질 우주와 생명의 놀라운 연결성이 있다
https://home.ebs.co.kr/greatminds/index
위대한 수업
조지프 르두 공포의 뇌과학 - 불안, 공포 등 감정 연구, 세계적 신경과학자 - <우리 인간의 아주 깊은 역사>, <느끼는 뇌> 저술
home.ebs.co.kr
70원의 기적 EBS에서 전 세계 최고의 지성을 한 자리에 만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획했다.
방송시간 EBS1TV 월~금 23:35~23:55 EBS2TV 월~금 22:00~22:20(재방)
토 09:30~11:00(종합) 토 22:15~23:45(종합)
월~금 15:05~15:25(재방)
'상식과 지식 사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EBS 위대한 수업(지속 가능한 발전)제1강~6강 요약정리 (0) | 2022.01.02 |
---|---|
EBS 위대한 수업(부와 민주주의)제1강~5강 요약정리 (0) | 2021.12.25 |
EBS 위대한 수업(강대국의 흥망)제5강~7강(미국, 새로운 안보위협) (0) | 2021.12.13 |
EBS 위대한 수업(강대국의 흥망)제3강~4강(중국) 요약정리 (0) | 2021.12.09 |
EBS 위대한 수업(강대국의 흥망)제1강~2강(유럽&러시아) 요약정리 (0) | 2021.1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