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식과 지식 사이

EBS 위대한 수업(강대국의 흥망)제1강~2강(유럽&러시아) 요약정리

by 상팔자 2021. 12. 8.
반응형

위대한 열다섯 번째 강연 '강대국의 흥망'

예일대 역사학과 교수 폴 케네디

국제안보연구소장

2014 하텐도르프 상 수상

2005 케어드 메달 수상

2005 세계 100대 지식인(포린폴리시)

저서 <강대국의 흥망>, <제국을 건설한 사람들>

 

 

 

 

제1강 유럽 열강

 

  ■ 유럽

 

      - 1500년 세계정세의 전환점 

         1. 초기 근대국가 등장

         2. 종교개혁

 

        : 포르투갈, 스페인, 프랑스, 네덜란드, 영국은 영토 확장을 시작하고 식민 제국을 건설하면서

         세계열강에 반열에 오른다

   

      - 1500년대 막강한 두 강대국 : 중국, 오토만 제국(터키)

 

      - 16세기 유럽인들도 바다를 통해 지배 세력이 됨 : 새로운 무기와 항해술    

        · 장거리 행해를 위해 대형 범선 발달, 범선에 황동 대포 장착, 돛과 돛대의 발달로 순풍과 역풍 조절 가능

        · 나침반, 아스트롤라베 사용 : 바다 위 배의 위치 확인

 

      - 16~17세기 서유럽 근대국가의 기반 : 관료제, 조세제도, 해군력

        · 무역로를 통해 들어온 금, 은, 식물성 기름, 후추

        · 16세기 이후 유럽 주도의 세계 질서는 남미, 아프리카, 서인도제도의 해안지대에 국한됨

 

      - 17세기 새로운 열강의 부상

        · 스페인 제국,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왕가, 프랑스, 네덜란드, 영국 

        · 유럽 국가들의 지배와 견제가 충돌한 나폴레옹 전쟁(1800~1815)

          : 유럽 전역에서 군림을 꿈꿨지만 연합세력에 의해 실각

 

      - 19세기 초반 세계열강 패권을 장악한 유럽

        · 중국은 내분, 일본은 도쿠가와 막부 시대(폐쇄적)

        · 인도의 왕들은 모두 항복해 영국 식민 통치 제도의 일부가 됨

        · 프랑스는 서아프리카, 인도양, 태평양 연안에 식민지를 갖고 있었음

        · 스페인이 중남미 식민지 포기하자 아르헨티나, 페루와 같은 독립 국가 탄생

 

  ☞ 세계 패권의 중심 유럽이 힘을 잃은 이유는?

 

    제1차, 2차 세계대전

    - 제1차 세계대전으로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제국이 붕괴되고, 제정러시아는 소비에트의 지배를 받게 되고,

      막강한 군사력을 지녔던 독일은 1차 세계대전 패배 후 내전을 겪음 

    - 승전국인 영국과 프랑스 역시 인력과 재정 측면에서 전쟁의 대가를 크게 치렀고,

      그 손실로 1919년 이후 상대적으로 국력이 약해짐

      불행히도 유럽에서는 누가 승자인지에 대한 논쟁이 계속됨

    - 독일의 히틀러, 이탈리아의 무솔리니가 유럽의 권력 시스템에 도전

      1939~1945 제2차 세계대전 발발

    - 1945년 이후 유럽은 패권국에서 밀려남

      프랑스, 영국은 1945년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이었지만

      1950~55년 사이 유럽 강대국들은 식민제국을 포기해야 함

      영국 : 인도, 파키스탄, 스리랑카, 동아프리카 / 프랑스 : 서아프리카 → 두 나라 모두 세력 약화

    - 프랑스, 독일을 필두로 유럽 국가 지도자들이 경제발전, 제3세계와의 관계, 국제안보문제, 자산소유권 문제 등에

      통일된 정책 수립을 위해 노력

      · 우리의 끊임없는 목표는 유엔기구를 건설하고 강화하는 것이어야 한다. 그 세계 개념 아래 그리고 그 안에서

       우리는 유럽 연합이라고 불리는 지역 구조로 유럽 가족을 재창조해야 하며 첫 번째 실직적인 첫 단계는 유럽

       평의회를 구성하는 것이다_윈스턴 처칠(1946년 취리히 대학 연설)

      · NATO는 냉전기간 동안 유럽을 방어하기 위한 조직이었지만 아직까지도 범유럽적 군사안보를 논의하고

       기획하는 조직으로 존재함

      · 통일된 유럽을 이끄는 가장 거대한 축은 유럽 연합 : 유럽의 경제, 문화, 지적재산, 무역 정책을 통합한 연합

        → 새로운 권력 시스템 발명

 

♣ NATO 북대서양조약기구(1949년 창설) : 유럽 내 반공 세력에 대한 집단 방위 조약. 영국, 프랑스, 독일, 미국, 캐나다                                                         등 총 30개 회원국

 

♣ EU유럽연합(1993 설립) : 유럽 회원국 간의 정치 및 경제 통합체 2020년 영국 탈퇴로 27개 회원국

 

    - 유럽이 퇴장하자 새로운 강대국들이 등장함

 

    - 유럽 권력 시스템의 특징

      1. 조직과 중앙통제

      2. 경제력과 자금동원력

      3. 군사력

 

☆ 여러분의 국가는 중앙집권식 정부와 경제력을 강화할 수 있는가? 세계에서 자신의 위치를 지킬 수 있는가?

    영토를 지킬 수 있는가? 해외에서 군사력을 강화할 수 있는가?

 

    - 유럽 권력 시스템에서 바라본 러시아, 일본, 중국    

      · 막강한 군사력은 있지만 경제력은 부족한 러시아

      · 경제력에 비해 군사력이 약한 일본

      · 중국은 경제력과 군사력 군사기술에서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

 

 

제2강 러시아

 

 

  ■ 러시아

 

     - 500년 전 러시아의 전신 '루스 차르룩' 초대 군주 이반 4세, 루스 차르국 이전 가치 없는 땅이라 여겼던 모스크바

     - 유럽의 동부에 위치해, 서쪽으로는 독일과 발트해, 스웨덴과 오스트리아와는 경쟁관계,

       다른 유럽 강대국들과는 차이점이 있었음 → 아시아의 강대국 러시아

       · 16~17세기에 탐험가들과 정복자들이 아시아로 영토를 확장해 큰 세력이 됨

     - 바다를 통해 브라질, 아프리카를 정복한 서유럽

     - 1721년 광활한 영토의 러시아 제국 선포

       · 중앙아시아, 북유럽, 시베리아, 알래스카 해협 맞은편까지 진출

       · 최대 11개의 타임존을 가졌던 러시아(러시아 국토 17,130,000㎦ / 대한민국의 171배) 

     

☞ 거대한 영토 / 많은 인구 강대국의 조건으로 강점일까? 약점일까?

 

  - 국토가 너무 크거나 인구가 너무 많으면 통치가 어려다_<시베리아의 저주> 클리포드 개디&피오나 힐 저

  - 러시아가 말하는 운명 : 근데 유럽의 강대국으로 인정받는 것, 범아시아 제국 건설

    · 1814-15년 빈 회의 참석,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으로 1945년 얄타/포츠담 회담 참석

    · 19세기 러시아 제국주의자들 : 철도로 전 국토를 하나로 연결하는 상상

      "서쪽으로 영토를 확장했다면 대서양과 태평양을 아우르는 강대국이 되었을 수도"

 

     - 유럽 지향적 사고를 가진 러시아 황제 차르 불어와 독어도 가능

       · 18세기 유럽 세계의 일원으로 자처한 러시아

       · 상트페테르부르크 궁전에서는 유럽의 문화, 음악회, 작곡가들을 보유하고 있었음

     - 제1차 세계대전으로 황폐해진 러시아

     - 1917년 2월 혁명과 볼셰비키 혁명으로 차르의 왕정주의 붕괴

       · 레닌과 볼셰비키 당원들이 정권을 탈취하고 통제권을 손에 넣음

     - 19020-21년 사이 새로운 정권이 들어섬

       · 경제, 군사적 목표, 거대한 러시아의 군사적 부문에서 지배적 지위를 행사

       ·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양극체제 : 미국, NATO 연합국 VS 공산 소비에트 연방   

     - 군사력은 갖췄지만 경제력과 기술력을 갖추는 데는 실패한 소련

     -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개혁개방 정책(페레스트로이카)

       · 민주화 실험을 단행하고 근대화를 추진 : 공장과 경제의 중앙 통제를 없애고 경제 성장을 위한 조치를 단행

       · 실패로 끝난 개혁개방 정책 : 1991년 소비에트 연방의 위성국가들의 공제권을 이양

         → 소련 해체(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우크라이나 독립) 러시아 연방 출범

     - 중국과 미국에 뒤쳐지기 시작한 러시아 

        · 블라디미르 푸틴 : 1999년부터 총리와 대통령으로 재직

        · 푸틴의 세계제패 전략 : 주변국을 정치적으로 통제, 국경 안보 유지

                                        해군력, 공군력에 힘을 쏟음

     - 러시아 패권국이 되기 위한 조건 : 경제력

     

 

 

 

 

 

 

 

 

 

 

 

https://home.ebs.co.kr/greatminds/index

 

 

위대한 수업

조지프 르두 공포의 뇌과학 - 불안, 공포 등 감정 연구, 세계적 신경과학자 - <우리 인간의 아주 깊은 역사>, <느끼는 뇌> 저술

home.ebs.co.kr

 

 

70원의 기적 EBS에서 전 세계 최고의 지성을 한 자리에 만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획했다.

 

방송시간 EBS1TV 월~금 23:35~23:55                        EBS2TV 월~금 22:00~22:20(재방)

                        토     09:30~11:00(종합)                            토      22:15~23:45(종합)

                        월~금 15:05~15:25(재방)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