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둑맞은 집중력
지은이 요한 하리
옮긴이 김하현
발행처 어크로스출판그룹(주)
값 18,000원
화제의 책! 도서관 대기도 엄청나서 한 번 빌리기도 어려웠던 책
드디어 손에 넣었다!
중반 이후로 갈수록 점점 집중력이 떨어지긴 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많은 이들이 꼭 읽었으면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우리는 왜 집중력을 잃고 매일 헤매다 지쳐 잠들게 되는가
살고 싶은대로 살지 못하고 왜 살아지는 대로 살게 되는가
우선 확실히 해 둘 것이 있다면 이 책은 자기계발서는 아니다
저자가 신경과학자, 사회과학작, 철학자, 심리학자 등과
인터뷰하며 알게 된 다양한 연구 사례를 통해
집중력이 사라진 각박한 현실의 원인과 그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내용들을 담고 있다
물론 저자의 의견에 누군가는 동의하고 누군가는 동의하지 않을 것이며
그가 제시하는 방법이 정답이라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다만, 한 가지 확실한 것은 이전에 비해 집중을 할 수 없는 사람들이
많아졌고 이는 다양한 분야에서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일 것이다
그래서 지금 이 책은 매우 중요하며 가급적 많은 사람과
꼭 한 번은 이야기 해 볼만한 주제라고 생각한다
21세기 초반에 살아 있다는 감각은 곧 주의를 기울이는 능력(집중력)이
부서지며 무너지고 있다는 감각과 같았다_p.12
집중력 부재의 문제는 단지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적 현상이다
우리에게 노출되는 정보의 양이 늘어날수록 집중력의 쇠퇴를 가져온다
실제로 새로운 주제들이 나타났다 사라지는 속도가
10년 단위로 점점 빨라지고 있다고 한다
이는 깊이 있는 사색의 시간과 에너지를 단축시킴을 의미한다
집중력의 위기가 1930년대 이후 가장 심각한 민주주의의 위기와
동시에 발생했다는 사실은 우연이 아니라고 생각한다._p.26
우리는 집중력을 잃게 되면서 문제 해결 능력에도 문제가 생긴다올바른 해결책을 찾는 대신 쉬운 해결책을 찾기 마련이고 이는 사회적인 문제로 연결된다
수네의 논문에서 연구 결과를 요약한 문장 하나가 머릿속에서 계속 덜컹거렸다.
우리가 집단적으로 "주의력 자원의 더욱 빠른 소진"을
경험하고 있다는 것이었다._p.52~53
인간은 멀티태스킹이 가능하다고 착각하지만
우리의 뇌는 단순해서 동시에 한두 개의 생각밖에 하지 못한다
동시에 하는 것이 아니라 빠른 속도로 일을 전환하고 있는 것이다전환에 시간을 많이 쓰는 사람은 더 느리고, 실수가 잦고, 덜 창의적이며,자신이 하는 일을 잘 기억하지 못한다고 한다실제로 느린 수련을 할 때 주의력이 개선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그는 일상에서 너무 오랜 시간 방해를 받으면
모든 외부의 방해에서 벗어났을 때
스스로를 직접 방해하기 시작한다고 설명했다._p.76
저자는 집중력을 되찾기 위해 자신이 살던 곳을 떠나
핸드폰과 노트북이 없는 시간들을 보냈지만 그조차 쉽지 않았다
"핵심은 회피예요. '이 불편한 상태에서 어떻게 벗어나지?'가 핵심이죠."_p.227
오래된 습관에서 벗어나기 위해선 내면의 불편한 감정 상태를 먼저 알아야 한다
시간을 정해 행동을 통제하는 것이다
10분 동안 핸드폰을 사용하지 않고 기다려보거나
매일 할 일에 대한 계획을 자세히 짜서 지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법적으로 핀란드의 교사들은 45분 지도할 때마다
15분의 자유 놀이 시간을 줘야 한다.
그 결과는? 핀란드의 어린이의 겨우 0.1퍼센트만이
집중력 문제를 진단받으며, 핀란드인은 세계에서 읽고 쓰는 능력과 산술 능력이
가장 뛰어나고 가장 행복한 사람들 중 하나다._p.404
핀란드의 교육 제도의 예를 통해 우리는 집중력 문제에 대한
대안책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미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산만한 아이들은 ADHD진단을 받고
처방약을 복용하게 되지만 이는 장기적으로 봤을 때
올바른 해결책이라고 볼 수 없다
실제로 약을 복용하지 않고도 아닌 환경적 요인의 변화만으로도
치료가 되는 경우가 있었기 때문이다
스트레스가 심한 환경에서 성장한 아이는
집중력 문제를 겪을 확률이 더 높았다고 한다
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이나 기후위기로 인한 재해들은
우리가 직접 겪으며 보는 일이다 보니 어느 정도의 위기를
감지하고 있지만 집중력의 부재에 대해서는 개인의 문제로만
인식하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저자는 지금이야말로 위기이며 인류에게 집중력이 필요한 때라고 말한다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우선 우리가 위기라는 것을 인지하고우리를 정신적으로 통제하려는 사회와 맞서야 한다
"삶은 안전지대에서 벗어나는 순간 시작된다"_
닉 도널드 월시(Neale Donald Walsch)
'독서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람, 장소, 환대_김현경 (0) | 2024.10.23 |
---|---|
가장 나쁜 일_김보현 (0) | 2024.10.05 |
종의 기원담_김보영 (0) | 2024.09.18 |
철학은 어떻게 삶의 무기가 되는가_야마구치 슈 (0) | 2024.09.14 |
젠더는 해롭다_쉴라 제프리스 (0) | 2024.09.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