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bs위대한수업212

EBS 위대한 수업(공정을 말하다)제4강~6강 요약정리 위대한 스물네 번째 강연 '공정을 말하다' 하버드 대학교 교수 마이클 샌델 저자 제4강 질의응답 ■ 학생이 행복한 사회를 위해 Q. (코로나19 확진자 시험 감독관이었던 질문자) 형식적인 공정함에는 집착하면서 학생들의 행복한 삶에는 무관심한 현실. 학생들이 행복하려면 우리 사회는 무엇을 해야 할까? A. 학생들은 방호복을 입고서라도 시험을 봐야 한다고 생각한다. 시험 결과에 미래가 달려 있기 때문에. 우린 학생들을 너무 압박하고 있다. 우리 사회가 대학 학위를 과하게 중시하고 대학 학위를 성공의 지름길로 여긴다. 고등 교육 기관인 대학에서 평생을 일한 사람으로서 고등 교육의 중요성을 진심으로 믿고 가능한 한 많은 사람이 대학에 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믿는다. 그건 중요한 사명이다. 하지만 이것이 중요한 건.. 2022. 2. 9.
EBS 위대한 수업(공정을 말하다)제1강~3강 요약정리 위대한 스물네 번째 강연 '공정을 말하다' 하버드 대학교 교수 마이클 샌델 의 저자 제1강 능력주의는 왜 폭압이 되었을까? ■ 능력주의의 폭압 우리는 보통 능력을 좋은 것 이상적인 것으로 생각한다 심지어 능력을 보상받아야 공정한 사회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왜 능력주의가 폭압이 되는 걸까? ★ 능력이 능력주의로 변하는 순간 능력은 폭압이 된다 능력주의 사회에서 성공한 사람들은 스스로의 힘으로 성공했다고 믿는다 그래서 시장에서 얻는 모든 혜택을 당연하다고 여긴다 능력주의는 승자와 패자를 갈라놓는다면 폭압이 될 수 있다 성공한 사람들은 운이 좋았다는 것, 성공에 보탬이 된 사람들의 역할을 잊어버린다 → 능력주의적 오만 승자들이 성공하지 못한 사람, 운이 안 좋은 사람을 무시 Q. 부자는 노력으로 부를 얻을까요?.. 2022. 2. 5.
EBS 위대한 수업(힘든 시대의 경제학)제1강~5강 요약정리 위대한 스물세 번째 강연 '힘든 시대의 경제학' 매사추세츠 공과대학 경제학과 교수 에스테르 뒤플로 2019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 2002년 MIT 경제학과 종신교수 임용(만 29세) 2010년 존 베이츠 클라크 메달 수상 2015년 아스투리아스 공상 수상 , 의 저자 제1강 보편적 기본소득 보편적 기본소득(Universal Basic Income) Universal 보편적이다 Basic 기본적인 생활을 유지한다 Income 지원금이 아니라 소득이다 ■ 공정하고 효율적인 사회 보호 제도 - 인도 북부 우타르프라데시 러크나우(Lucknow)의 바라 이맘바라(1794) : 이슬람교 성인을 위해 지은 '거대한 묘지' : 1784년 기근 구호 활동으로 굶주린 사람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기 위해 지어진 것으로 추측 .. 2022. 2. 3.
EBS 위대한 수업(인간의 길)제4강~6강 요약정리 위대한 스물두 번째 강연 '인간의 길' 장 지글러 UN 인권위원회 식량권 특별보고관(2000~2008) UN 인권위원회 자문위원(2008~) 의 저자 "스위스의 은행업, 기업 행위, 금융체계는 제3세계 국가들의 고통스러운 죽음에 대한 책임자입니다." "남아프리카의 기아와 빈곤에 우리는 책임이 있습니다. 우리는 이 정권의 공범입니다." 제4강 굶주림의 주범들(하) ■ 강력한 다국적 기업 · 500개 다국적 기업 세계 총생산이 52.8%를 차지(출처 : 세계은행_2017) · 막강한 권력을 가진 전 세계 다국적 기업 · 3개월마다 새로운 약품을 출시하는 스위스, 6개월마다 새로운 금융 상품을 만드는 미국 · TNC(Transnational Company) : 다국적 기업 · 다국적 기업의 유일한 전략 : 이.. 2022. 1.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