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식과 지식 사이

KBS 다큐 위대한 여정 한국어_3부 "말의 길-한국어의 선택"

by 상팔자 2022. 10. 11.
반응형

◈ 한국어는 세계어가 될 수 있을까?

 

 

 

-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들이 늘고 있다

  · 38개 나라, 276개 대학에 한국어 강좌가 개설되어 있다(2004.10.17 방송)

  · 세계 속에서 한국어의 위치

세계속의 한국어

 

- '세계어'가 된 영어

  · '세계어'란 세계 모든 국가에 존재하는 언어를 의미한다

    (사람들이 제1공용어나 모국어, 제2공용어로 사용하고, 학교에서 제1외국어로 가르치는 언어)

    세계의 거의 모든 지역 200여 국가에서 영어가 그러한 특권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 20세기 내내 달러화는 영어를 배후에서 주도하는 우월한 힘으로 작용했다

    20세기의 중대한 문화적 혁신 대부분이 영국이 아니라 미국에서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 사라져 가는 언어

  · 민족담화 : 전 세계의 5천여 언어의 현황과 실태를 수록_SIL 하계언어학연구소 

  · 현재 지구상에는 사용자가 1천 명 이하인 언어가 1천여 개, 만 명 이하의 언어가 3천여 개나 있다

    세계 언어 절반 정도가 소수민족의 언어라고 할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소멸할 위험에 처한 언어는 3천여 개가 넘는다고 보아야 한다

 

- 프랑스어를 지키는 사람들

  · 이해할 권리 : 외국어로부터 프랑스어를 지키려는 시민단체

                           4,500여 명의 회원들이 모두 감시자가 돼 프랑스어를 지킨다

                           물건 설명을 프랑스어로 하지 않고 외국어로만 했을 경우 고발조치를 취한다(1년에 500건 정도)

  · 프랑스어 사용법(투봉법) : 재화, 제품 또는 용역의 명칭, 제공, 소개, 사용법, 보증 기간과 조건의 기술 그리고 송장과

                                               영수증에서 프랑스어를 의무적으로 사용한다. 

  · 수십개나 되는 언어와 관련된 정부 기관이 조직적으로  일을 할 수 있게 프랑스어 총괄위원회가 총괄하고 감독한다 

    자국어 보호를 위해 이처럼 정부가 적극 개입한 나라도 없다

  · 프랑스어의 지위가 나타난 프랑스 헌법

프랑스 헌법에 나타난 프랑스어의 자위

 

- 영어의 위협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한국어

  · 경기도가 막대한 예산을 들여 만든 안산의 영어마을

    글로벌화된 세계경제체계에서 우리나라는 무역이나 수출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고 

    국내에 많은 영어 사용 구사를 할 수 있는 인력의 확보가 시급한 상황이다

  · 한글문화연대 : 우리말을 아름답게 가꾸고 우리말의 오염을 감시하는 시민단체

                             우리말이 영어화 되고 훼손되고 약화되면서 그 언어에 따른 계층화가 점점 진행이 되고 계층화에 따른                                 사회적인 문제점이 커지기 때문에 그런 현상이 공용화는 아니지만 어느 정도는 나타나고 있다

 

- 신어

  · 매년 한 해에 2,000여개의 신어가 생긴다(이 중 500여 개가 생명을 얻지만 나머지는 사라짐)

  · 요즘 신어의 대부분이 외래어이다(우리말에 침투한 영어는 걱정할 수준에 이르렀다)

  · 우리가 모르는 사이 남북한 언어의 이질화는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다

남북한언어의 차이

  · 북한 주민이 모르는 남한 외래어 조사 결과 우리가 쓰는 외래어 중 북한 주민이 모르는 단어는 8,000여 개

    이 정도면 의사소통이 어려울 수 있다고 언어학자는 말한다

  

- 언어의 생명력

  · 인구 500명이 사는 작은 마을 중국의 오로첸족자치지역의 오로 첸민족은 문자가 없다

    이호연 교수(서울대 언어학과)는 이들에게 한글을 보급하는 작업을 통해 음성 기호로서 한글의 정확성을 확인하게 됐다

    문자 보급을 통해 한국어에 친근감을 느껴 소수민족에게도 한국어가 보급될 수 있다

  · 언어는 단순한 의사소통 수단이나 민족의 정체성만을 결정하는 것만이 아니다, 오늘날 언어는 산업이다 

    다른 나라와 달리 영국은 정부 차원에서 영어 교육산업을 관리, 감독한다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홈스테이는 영국의 보통 가정에서 아주 흔하게 하는 일이다

    매해 60여만 명의 연수생과 유학생들이 영국을 찾아온다, 한 해 동안 18조 원이라는 거액을 쓰고 있다

  · 영국의 영어 산업을 이끌어 가는 또 하나의 큰 축은 영어 교재 출판 사업이다

    영국 최대의 영어교재 총판인 켈틱 인터내셔널의 작년 켈틱의 총매상고는 250만 파운드(한화 약 51억)

    전체 매출의 90% 이상이 수출로 이루어진다

    켈틱 인터내셔널과 비슷한 출판사에서 영어 교재 수출로 벌어들이는 돈은 약 1조 원 우리나라 관광수익의 6배

  · 세계 인구의 1/4이 영어를 사용하고 있다, 영국은 그들이 키워낸 영어로 부를 얻고 있다

  · 세계 언어의 가치

    브랜드 가치를 평가하는 인터브랜드에서 언어의 가치를 돈으로 환산했다

    (얼마나 많은 이들이 그 언어를 쓰는 가 보다는 해당 언어 국가의 경제력에 무게를 두고 측정한 결과) 

    영어의 가치는 78억 1천5백만 달러로 1위, 일본어는 42억 4천만 달러로 2위, 독일어는 25억 5천만 달러로 3위,

    스페인어는 17억 8천9백만 달러로 4위로 평가되었다

    언어의 가치는 언어 사용자의 수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 힘에 있다

돈으로 환산한 언어의 가치

 

- 미국에서 일어나는 한국어의 의미 있는 변화

  · 한국어를 정규과정으로 가르치는 L.A의 다이아몬드바 고등학교

    미국 대학 입학시험에 외국어 과목으로 한국어가 채택된 이후 생긴 변화이다

    미국의 교포 자녀들에게 영향을 주어 영어만 쓰던 아이들이 한국어를 말하게 되었다

  · 한국어 집중교육 프로젝트를 시작한 UCLA  캘리포니아 주립 로스앤젤리스 대학(미 국방부가 240억 원의 예산을 지원)

    미 국방부는 러시아어, 중국어, 아랍어에 이어 한국어를 국가 전략상 필요한 언어로 채택했다

    국가안보와 관련된 미 연방기관에 한국어가 능통한 최고 전문가를 뽑겠다는 의미

 

- 한국인이 자신들의 언어와 역사 문화를 위해 싸우는 것은 인류를 위한 투쟁이 되기도 한다

  우리의 언어가 바로 인류의 소중한 문화유산이기 때문이다

- 문화를 창조하는 것은 우리말을 가지고 하는 것이다

  우리의 고유한 언어가 있으니까 우리 고유한 문화가 나오는 것이다

- 한 언어가 세계어가 되는 것은 그 언어 사용자의 힘에 달려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