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9.29 방송)
EBS 위대한 수업3 (인간 이하의 존재) 3강 인간 이하의 존재가 필요한 이유
위대한 여든여섯 번째 강연 '인간 이하의 존재 '(시즌3 다섯 번째)
데이비드 L. 스미스 철학자
뉴잉글랜드 대학교 철학과 교수
애니스필드-울프상 논픽션 부문 수상(2012)
글로벌 협력 위원회 대량 학살, 홀로코스트 자문 위원장
3강 인간 이하의 존재가 필요한 이유
우리는 타인을 '비인간화'할 때
상대가 인간보다 열등한 계급의 본질을 갖고 있다고 치부한다
겉은 인간이지만 실은 비인간이라는 것이다
'비인간화'를 하는 사람은 내면의 본질에 집중한다
![](https://blog.kakaocdn.net/dn/beZ5ty/btswaqUzBdK/ySONcIWMxtUm7xdpBIjYSK/img.png)
하지만 이 설명에는 문제가 있다
그중 하나를 예로 들어 보자
1993년, 루마니아의 허더레니 마을에서
집시 민족인 롬인을 상대로 포그롬이 벌어졌다
포그롬이란 다른 민족 집단에 대한 학살 및 폭력 행위이다
당시 루마니아 현지인과 집시인 롬인 남성 2명 사이에서
약간의 다툼이 있었다
롬인 중 한 명이 현지인을 칼로 찌른 후
두 롬인은 자신들 집에 숨었다
사람들이 몰려와 그 집에 불을 질렀다
![](https://blog.kakaocdn.net/dn/1jMyB/btswbzDMqJZ/q2Nx7QufPlfpG3dstXXNKk/img.png)
영국 신문 '인디펜던트'의 기자가 학살범 중 한 명인
마리아라는 여성과 인터뷰를 했다
![](https://blog.kakaocdn.net/dn/skt6b/btswbcu8B3d/wX4aYEkEpUFz5oRjYWGxo0/img.png)
그녀의 말을 하나하나 살펴보자
마리아는 우선 '사람도 태울 걸 그랬다'라고 하더니
'집시는 사람이 아니니가 우린 살인자가 아니다'라고 했다
![](https://blog.kakaocdn.net/dn/cqMHYZ/btsv7uKoYzk/J0IhVKbWEnWXFK1vUDeuSK/img.png)
처음에는 학살 피해자를 사람이라고 했다가
나중엔 사람이 아니라고 말한다
그러고는 피해자를 '범죄자'라고 하는데 범죄자도 사람이다
'범죄자 쥐'나 '범죄자 바퀴벌레'는 없다
![](https://blog.kakaocdn.net/dn/EMrkh/btswklZj1ph/MJDkUzOt83AkAMw5KbbKX0/img.png)
후투족 민병대 남성들은 투치족 여성을 죽이기 전에 강간했다
단순히 성욕 때문이 아니다
상대를 모욕하고 깎아내리려는 수단이었다고 진술했다
르완다 대학살 당시 가해자는 피해자를
바퀴벌레, 뱀, 하이에나로 묘사했다
![](https://blog.kakaocdn.net/dn/bOwZ2E/btsv7dvgjtf/sJl0KDEoO5OoCSXAu1h6S0/img.png)
모욕은 인간만이 당할 수 있다
그때도 은연중에 인간이라고 인정한 것이다
피해자를 비인간화하면서 말이다
나치도 마찬가지였다
유대인을 비인간이자 범죄자라고 했다
피해자들은 인간인 동시에 비인간이다
어떤 사람들은 비인간화가 허구라고 주장한다
겉으로는 피해자를 비인간화시키면서
실은 인간으로 인지한다면
그 비인간화는 명예 훼손이나 욕설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실은 인간이라는 걸 알면서 깎아내리고 모욕할 뿐이라는 것이다
방금 말한 문제를 '인간성의 문제'라고 부른다
비인간화당한 사람들을 인간으로 인식한다면
실제로 비인간화시키는 게 아닌 것이다
그러면 타인이 인간보다 열등한 계급의 본질을 갖고 있다고
치부하는 건 옳지 않은 일이 되기 때문이다
비인간화는 상대가 하위 인간 같은 동물의 본질이 있다고 치부하는 게 아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lAUwB/btsv9Mp3SOy/4uIzxaede14yahESRxsWRK/img.png)
학계에선 인간의 정의가 그리 단순하지 않다
![](https://blog.kakaocdn.net/dn/M3TKy/btsv8U9GwT5/Q9ptOWEkODFkRokoR3oRTK/img.png)
'인간'이란 말 자체가 과학적 용어가 아닌 민속적 표현이다
![](https://blog.kakaocdn.net/dn/cBtJWA/btsv927puhV/HqvwHT8lPYoSZGQmUUCX01/img.png)
인간이 무엇인지 알려면 한 가지 철학적 질문에 답해야 한다
![](https://blog.kakaocdn.net/dn/cuuv8S/btsv7slxRmu/PX4keGYdnAxTDk0UX0ZqpK/img.png)
'인간'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방식을 살펴보면
단순하게 정리된다
![](https://blog.kakaocdn.net/dn/ZxGXz/btsv8iv8Q2w/P14JVf9alJpNhP3md1TbpK/img.png)
이 개념은 민족주의는 물론 몇몇 종교 집단이나
종족, 인종 집단에도 적용된다
우리는 '우리'와 '남'의 선을 긋는다
인종적으로, 종족적으로 혹은 민족적으로 선을 긋는다
우리에 속하지 않은 선 밖의 사람들은 비인간이 된다
로마 제국이 기독교를 국교로 채택했을 때
소수 종교는 전부 제거됐다
다들 학살당하거나 자발적으로 개종하거나
무력에 의해 계종 했다
하지만 유대인은 꼭 남겨 놔야 했다
성 아우구스티누스로도 알려진 철학자의 주장
1. 유대인을 통한 홍보 효과
기독교와 유대교의 복잡한 역사 때문에
기독교의 신뢰성에 도움이 됐다
유대인을 살려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는 척했다
이교도들에게 좋은 홍보가 되기 때문이다
2. 동시에 열등한 민족인 유대인을 종속하며
고통 속에 살게 하려고 했다
이 전략은 몇백 년이나 이어졌다
11세기 후반 1차 십자군 원정이 터지며 상황이 변했다
당시 기독교 군대는 동쪽으로 접근했다
이슬람으로부터 성지(예루살렘)를 되찾기 위해서다
동쪽으로 향하던 군대는 기독교 불신자인 유대인들을 마주쳤다
그 당시 유대인 혐오가 점점 커지고 있었다
유대인은 사실상 왕실의 소유물로 취급받고 있었다
라틴어로 '세르부스(Servus)'라고 했는데 왕실의 하인, 노예라는 뜻이다
경제적 가치가 컸는데 당시 대다수 유럽인과 달리
유대인들은 글과 계산을 알았다
각국에 연줄이 있어서 무역이나 세금 징수에 큰 역할을 했다
그런 이유로 유럽 민중은 유대인을 혐오하게 됐다
![](https://blog.kakaocdn.net/dn/b7Rq6i/btswbgj0FBO/Qjbd151lBS3bkkXNA9lFxK/img.png)
유대인은 점점 종교만 다른 게 아니라 본질적으로 다른 인종으로 여겨졌다
인종과 비인간화는 굉장히 밀접한 관련이 있다
14세기에는 가래톳 흑사병이 창궐했다
유럽인의 3분의 1, 또는 절반 정도가 죽었을 때
유대인들이 비난받았다
유대인과 이슬람이 손잡고 기독교 세계를
무너뜨린다는 음모론이 돌았기 때문이다
그런 종교적 갈등도 있고 사회적인 갈등도 있었다
지배층이 유대인을 고리대금업자나 세무관으로 부렸기 때문이다
![](https://blog.kakaocdn.net/dn/bOYkQf/btswpYiyf0v/b2D4U2hsVzbGDifJsgkMk0/img.png)
많은 유대인이 살해당하거나 자살했고 나머지는 폴란드로 이주했다
폭도들이 일어나 유대 민족을 대대적으로 학살했다
유대인들은 독살범이자 끔찍한 역병의 근원으로 매도당했다
대중한테 비인간화 사상을 퍼뜨리려면 일종의 선전이 꼭 필요하다
인간 이하의 존재라는 사실을 어떻게든 퍼뜨려야 하기 때문이다
인구 대부분이 문맹이었던 중세 유럽에선
유대인을 비인간화하는 사상을 그림이나 조각
혹은 부활절 순회공연을 통해 퍼뜨렸다
17세기에는 유럽에서 인쇄 기술이 보급됐고
문맹률도 줄었다
이 시기엔 유대인을 비인간화하는 사상이나 표현이
인쇄 매체를 통해 퍼졌다
그리고 라디오라는 혁신이 찾아왔다
나치는 영리했고 라디오 방송의 중요성을 알았다
그래서 히틀러의 선전장관 요제프 괴벨스는
평범한 독일인도 살 수 있도록 저렴한 라디오를 생산했다
비인간화는 물론 그 밖의 다양한 선전을
모두에게 바로 송출하려던 것이다
시대가 바뀔 때마다 사실과 거짓을 퍼뜨리는 기술이
점점 효율적으로 진화한 것이다
그리고 이젠 인터넷이 있다
인터넷에선 정보가 대단히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퍼진다
하지만 인터넷에선 거짓 정보도 대단히 잘 퍼진다
타인을 비인간화하는 사상도 빠르게 퍼진다
위대한 수업 Great Minds
위대한 수업 그레이트 마인즈, 전세계 최고의 지성을 한 자리에!
home.ebs.co.kr
EBS 1TV 월~금 23:40 ~ 24:00 (본방)
EBS 1TV 토 24:45 ~ 26:15 (종합) / EBS 2TV 금 24:00 ~ 26:00 (종합)
'상식과 지식 사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EBS 위대한 수업3 (인간 이하의 존재) 5강 인간은 왜 인간을 공격하는가 (0) | 2023.10.04 |
---|---|
EBS 위대한 수업3 (인간 이하의 존재) 4강 가해자는 괴물인가 (0) | 2023.10.03 |
EBS 위대한 수업3 (인간 이하의 존재) 2강 가해자는 어디에서 만족을 얻는가 (0) | 2023.09.30 |
EBS 위대한 수업3 (인간 이하의 존재) 1강 인간이 어떻게 그럴 수 있는가 (0) | 2023.09.29 |
EBS 위대한 수업3 (종이의 건축가) 6강 종이의 집을 소개합니다 (0) | 2023.09.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