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식과 지식 사이

EBS 위대한 수업(인간의 길)제1강~3강 요약정리

by 상팔자 2022. 1. 24.
반응형

위대한 스물두 번째 강연 '인간의 길'

 

 장 지글러

 UN 인권위원회 식량권 특별보고관(2000~2008)

UN 인권위원회 자문위원(2008~)

<굶주리는 세계, 어떻게 구할 것인가>의 저자

 

 

"스위스의 은행업, 기업 행위, 금융체계는 제3세계 국가들의 고통스러운 죽음에 대한 책임자입니다."

"남아프리카의 기아와 빈곤에 우리는 책임이 있습니다. 우리는 이 정권의 공범입니다."

 

 

제1강 나는 왜 투쟁하는가

 

 

인류의 치욕 기아

방글라데시아, 몽고, 과테말라, 니제르와 같은 해외에서 임무를 수행할 때 굶주림으로

사망하는 아이를 보면 너무 고통스럽고 참혹한 죽음이라 차마 잊을 수 없다

 

 

■ 인생을 바꾼 순간들

 

  1. 콩고 방문

 

    첫 임무 콩고 파견(당시 28세)

    1960년 벨기에로부터 독립한 콩고

    독립하자마자 정권 쟁탈을 둘러싼 분쟁과 광물 자원에 눈독들인 외세의 개입

    카탕카 주를 분리 독립시키려 했던 벨기에

 

♣ 카탕카 주 : 풍부한 자원을 가진 지역으로 분리·독립을 선언해 콩고 내전 시작

 

    콩고의 안정을 위해 노력한 다그 함마르셀르(당시 UN사무총장)

    다그 함마르셀르의 특사인 브라이언 어쿼트를 보조하는 엄무를 맡은 장 지글러

    칼리나에 체류했던 당시 호텔밖에는 철조망이 있었고 UN 평화 유지군이 보초를 서던 상황

    네팔의 그루카 장병들도 거대한 검을 차고 호텔을 지키고 있었음

콩고방문의 경험
킨샤사 판자촌의 굶주린 사람들과 그 광경을 지켜봐야만 했던 상황

    이 때 철조망을 기어오르던 사람들의 편에 서기로 결심한 장 지글러

    콩고를 떠난 1960년대 초반 당시 세계 기아 인구는 약 8억만 명(출처 : 유엔 식량농업기구)

 

 

  2. 체 게바라와의 만남

 

    청년공산주의연맹(소속이었던 장 지글러)

    : 국제여단(1936년 구성된 국제 좌파 의용군)과 같은 좌파 조직

 

    - 1964년 UN 무역개발회의에 참석하게 된 쿠바 대표단

      · 쿠바 대표단의 단장이었던 체 게바라와 12일 동안 동행

      · 전복적 통합이라는 투쟁의 노선을 명확히 함

        : 조직의 구성원을 변화시켜 그 조직을 전복시키는 것

        : 1972~2002 제네바 대학 사회학 교수 시절 제3세계 연구소 설림

        : 1981~1999 사회민주당 의원 시절 스위스 은행의 비밀계좌 실태 고발

        : UN 최초 식량권 특별 보고관으로서 전 세계의 기아 실태를 파악

 

♣ 체 게바라(1928~1967) : 라틴아메리카의 자유와 독립을 위해 싸운 쿠바 혁명가

 

 

 

제2강 가난의 얼굴

 

 

    - 5초마다 아이들이 굶주림으로 죽어간다(출처 : 세계보건기구, 유니세프, 유엔인구통계국)

    - 오늘날 전 세계 농업 생산량은 약 120억 명의 인구를 먹여 살릴 수 있음(출처 : 유엔식량농업기구)

      · 기아로 인한 사망은 숙명이 아니다

      · 식량이 공정하게 분배됐다면 굶어 죽는 일은 없었을 것

    - 세계보건기구 권장 1일 필요 열량 약 2,200kcal(확보하지 못하면 건강 악화)

    - 최소 열량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 지방과 당 연소, 감염 발생, 면역체계 붕괴

    - 식량 접근권을 결정하는 것 : 공정한 분배 체계, 공정한 규범

    - 2019년 전 세계 사망자 약 6000만 명 중 900만 명이 기아로 사망(출처 : 유엔인구통계국)

    - '타자에게 가한 비인간적인 처우는 내 안의 인간성을 파괴한다' _ 임마누엘 칸트

    - 아프리카, 남아시아에서 4초마다 한 명씩 실명(비타민 A 부족)

    - 전 세계 인구의 1/3 식수 접근권 없음

    

♣ 노마병 : 면역력 부족으로 잇몸에 염증이 발생되어 불과 눈, 입 등을 손상시키는 질병

               주로 5세 미만의 아동에게서 나타남, 발병 3주 이내 치료하면 완치 가능

               2~4유로의 항생제로 치료 가능

 

    - 출생지가 기대 수명과 평균 수명에 영향(출생의 우연으로 기아의 희생자가 될 수 있다)

    - 2001년 9월 11일 미국 뉴욕 테러로 2,996명의 희생자 발생

      같은 날 10세 미만의 아동들 약 17,000명 사망

 

 

 

제3강 굶주림의 주범들(상)

 

 

■ 굶주림의 주범

 

    1. 제3세계 국가들의 외채

 

       - 2020년 제3세계 국가가 상환해야 했던 부채 : 약 3조 9천억 달러(출처 : 세계은행)

 

       - 빚더미에 농업에 투자할 돈이 없는 제3세계 국가들

        ·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곡물 수확량 1ha당 약 700kg(출처 : 세계은행)

          유럽 곡물 수확량 1ha당 약 5,000kg(출처 : 세계은행)

          → 아프리카 사람들이 게을러서가 아니라, 열악한 농업 기반 시설 때문

          → 21세기에도 관개 시설이 없어 빗물에 의존할 수밖에 없음

 

       - 가난한 나라의 숨통을 조이는 외채 채권자들

        · 말리 면화 수출액, 세네갈 땅콩 수출액 → 외채 상환

        · 파리클럽(OECD 일부 회원국이 만든 국제 채권 국가 협의체), IMF(국제 금융 체계를 감독하는 기구)

          → 가장 큰 책임자들

 

 

    2. 유럽 농산물의 과잉 생산 확대(2차 세계대전 이후 생산력 증대)

 

       - 유럽 내에서 농산물 가격 유지를 위해 잉여 농산물을

         아프리카 시장에 수출 

        · 세네갈 다카르 최대 규모 시장 산다가

          : 스페인, 포르투갈, 그리스, 독일, 오스트리아 등이 원산지인 농산물 등을

            아프리카 농산물의 반값으로 판매되고 있음

        · 아프리카 농민 온 가족이 뙤약볕 아래 하루 종일 일하며 농사에 매달려도

          농산물을 시장에 내다 팔 기 어려운 현실

          → 유럽 농산물과의 가격 경쟁에서 밀리는 아프리카 농산물

 

    3. 기초식량 투기

 

       - 옥수수, 밀, 쌀 등 세계 곡물 소비의 약 절반 차지(출처 : 식량농업기구 세계통계연감_2021)

       - 식량권이 달린 기초 식량 작물이 투자 상품처럼 거래됨

기초식량 투기
투기로 인해 치솟는 농산물 가격

          · 투기로 인한 곡물 가격 상승으로 가난한 이들의 식량권 위협

       - 페루 리마의 빈민촌, 칼람파의 한 어린이집에 방문(UN 식량권 특별 보고관 시절)

          · 긴 기다림 끝에 쌀 한 컵을 구매하는 어머니들

 

    4. 토지 강탈

 

      - 부패한 정권과 영합해 아프리카 농지를 매입하는 다국적 기업들

아프리카 농지 거래 현황
제3세계의 경작지 4,100만ha가 매입되었고, 그 중 99%가 임대 되었다&amp;nbsp;

      - 다국적 기업의 경작지 매입을 지원하는 세계은행

        · 아프리카 농민들의 생산성이 낮으니, 활용 가능한 이들에게 맡기는 게 낫다는 논리 

        · 농지 대량 매입으로 자신이 살던 마을에서 쫓겨나는 사람들

          로메, 코트나, 다카르, 라보스 등 대서양 연안 도시로 밀려나고

          여성들은 성매매를 하게 되었고, 아이들은 펠라그레에 걸려 사망함

 

      ♣ 펠라그라(pellagra) : 영양 결핍으로 니코틴산이 부족해 발생하는 병

 

      - 그 밖의 사례들

        · 유럽연합집행위원회(EC) : 잉여 농산물을 싼 값에 아프리카에 수출

        · 헤지 펀드, 금융 기관 등 : 아프리카 경작지 대거 매입

 

      - 기초식량에 대한 투기는 즉시 금지되어야 한다.

        · 어느 나라에나 존재하는 증시에 대한 법률에 반드시 추가되어야 할 항목

          '기초 식량에 대한 투기는 금지한다' 

          → 단 하나의 조항으로 수백만, 수천만의 사람을 구할 수 있다

 

 

      - 토지 강탈에 대한 금지 방법

        · 다국적 기업의 아프리카 토지 매입 자금 대출 규제 

 

 

 

 

 

 

https://home.ebs.co.kr/greatminds/index

 

 

위대한 수업

조지프 르두 공포의 뇌과학 - 불안, 공포 등 감정 연구, 세계적 신경과학자 - <우리 인간의 아주 깊은 역사>, <느끼는 뇌> 저술

home.ebs.co.kr

 

 

70원의 기적 EBS에서 전 세계 최고의 지성을 한 자리에 만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획했다.

 

방송시간 EBS1TV 월~금 23:35~23:55                        EBS2TV 월~금 22:00~22:20(재방)

                        토     09:30~11:00(종합)                            토      22:15~23:45(종합)

                        월~금 15:05~15:25(재방)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