낯선 땅, 무일푼의 이민자에서 슈퍼 리치가 되기까지 자수성가의 아이콘 김승호
스노우폭스 그룹 회장
JIMKIM HOLDINGS 회장
'사장을 가르치는 사장'
前 미국 중견기업인 협회장
前 중앙대 글로벌 외식산업 최고 경영자과정 초빙교수
저서) '돈의 속성', '생각의 비밀', '김밥 파는 CEO' 등
▣ 돈을 인격체로 대한다
◆ 작은 돈을 함부로 하는 사람은 큰돈을 다루지 못한다
백화점 앞에서 만난 구걸을 하던 40대의 백인 남성은 저녁값을 마련한 후 자리를 떴다
그가 떠난 자리에는 3 페니의 동전이 남아 있었다
사람들이 준 돈 중에서 페니는 걷어내고 던지고 간 것
이 페니를 정말 보석 줍듯이 주워서 주머니에 넣어 온 김승호
왜냐하면 돈을 인격체라고 믿기 때문이다
· 회사가 창립되는 경우도 법인(法人)이라는 이름이 붙는다
· 돈이란, 회사보다 더 정교하고 체계적·구체적인 인격체
작은 돈을 함부로 하는 사람에게는 큰돈이 몰려가서 '저 사람한테 가면 합당한 대우를 못 받는다'라고 이야기를 한다
합당한 대우를 하는 사람한테는 찾아가서 돈들이 '자식'을 낳기도 한다(=이자)
· 돈을 함부로 대하는 사람에겐 돈이 그 사람을 진심으로 대하지 않는다
· 돈을 사랑하되, 과하지 말고 품더라도, 보낼 줄 알고 절대 함부로 대하지 말라(=항상 존중하고 감사하라)
· 남의 돈을 대하는 태도가 내 돈을 대하는 척도이다
'공금, 세비, 회비, 친구 돈, 부모 돈' 모두 다 남의 돈이다
· 한국에서는 사주(社主)나 주인이라 그러면 자기 것이라는 생각이 있는데 같이 일하는 사람이 있다면
완전히 자기 것은 아니다
· 세상의 모든 돈은 연결돼 있다
· 돈을 인격체로 대하는 순간 부자가 되는 첫 번째 문이 열리는 것이다
· 돈을 존중하면 자기가 정말 필요한 것이나 정말 원했던 거를 가끔 사고
돈을 가지고 허영과 사치를 하는 데 쓰지 않아도 되고 그것이 옳다는 걸 배우게 된다
· 소비력과 품위는 비례하지 않는다
· 좋은 돈이 나한테 들어오려면 내가 그 돈에 맞는 품위를 갖춘 사람이 돼야 한다
(품위 없는 행동들 - 욕을 하고 투덜거리는 거, 경박한 자세로 앉아있는 거,
남을 비웃는 거, 지저분한 차림, 약속에 늦거나 변경하는 거)
· 부(富)는 삶의 목적이 아니라 도구이다
· 돈이라는 것은 내 과거 시간의 결정체이다
내가 과거에 시간을 주고 이 돈을 바꿔서 여기다 모아놓은 것이다
돈 자체가 시간이고, 시간 자체가 자산이다
· 부자가 되는 법 1. 돈을 인격체로 대한다 2. 돈이 나처럼 일하게 한다
내가 이미 번 돈이, 나도 일해서 돈을 벌 듯이 이 돈도 나를 위해서 일을 하게 만드는 것
이 과정을 배우는 것이 부자가 되는 방법이다
· 굉장히 부자가 된 사람들은 그 사회구조 안에서 이 사람이 부자가 될 수 있도록 어떤 길을 열어준 것으로
혜택을 받은 게 많다
돈이 많은 부자가 되고 나면 옳은 돈을 구하고 옳은 돈이 다른 혜택을 받지 못한 사람한테 같은 영향을 줄 수 있도록
고민하고 노력해야 한다
· 돈이 목적이 되는 순간 모든 기준이 돈으로 바뀌게 되어 있다 → 집안의 주인이 돈이 된다
사람이 거꾸로 돈을 위해서 일하는 과정이 된다
'상식과 지식 사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KBS 다큐 위대한 여정 한국어_2부 "말은 민족을 낳고" (0) | 2022.10.06 |
---|---|
KBS 다큐 위대한 여정 한국어_1부 "말의 탄생, 산과 바다를 넘어" (0) | 2022.10.04 |
EBS 다큐 프라임_자본주의 5부 국가는 무엇을 해야하는가 (0) | 2022.09.04 |
EBS 다큐프라임_자본주의 4부 세상을 바꾼 위대한 철학들 (0) | 2022.09.03 |
EBS 다큐프라임_자본주의 3부 금융지능은 있는가 (0) | 2022.08.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