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 리뷰

실패의 향연_크리스티아네 취른트

by 상팔자 2021. 9. 28.
반응형

실패의 향연

지은이 크리스티아네 취른트

옮긴이 오승우

펴낸곳 도서출판 들녘

 

 

실패의 향연 표지
언제나 승리하는 찰리

 

끊임없이 시도했다. 그때마다 실패했다. 늘.
다시 시도했다. 또 실패했다.
이번에는 좀더 세련되게

 

 

실패라는 말만 들어도 피하고 싶고 살면서 입에 담고 싶지 않은 않은 단어 중 하나이다. 그러나, 실패에도 연습이 필요하고 잘 한 실패는 성공의 밑거름이 된다. 실패는 실업의 동의어가 아니다. 현대사회는 변동성이 커진 만큼 쉽게 좌절될 수 있다. 매스미디어는 '너는 뭐든지 할 수 있다'며 야망을 부추긴다. 그러나, 도전할 기회조차 빼앗기는 경우가 현실에서는 더 많다. 

 

 

 

우리의 과제는 이런 세상에서 성공하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도 계속 용감하게 실패하는 것이다.

 

 

영화 [그리스인 조르바]에서 목재 수송 레일을 깔기 위해 애써 세운 목재 기둥이 무너져 내리자 조르바는 이렇게 얘기한다. '대장, 이런 멋진 붕괴 장면을 본 적이 있소?' 심지어 바다를 향해 소리를 지르고 춤을 춘다. 성공과 실패의 여부는 업무의 성과가 아닌 관점의 문제일 수도 있다. 물론, 고생해서 이룬 일이 한순간에 물거품이 된다면 조르바처럼 태연할 수 있는 이가 몇이나 되겠냐마는 언제고 실패는 발생할 수 있다는 유연한 태도는 실패로부터 그를 더 자유롭게 한다.

 

 

처음부터 실패를 자신의 삶의 방식으로 끌어들여 포용하는 것만큼
잠재적 실패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는 데 적합한 방법은 없다는 점이다.

 

 

보헤미안과 그 이후의 현대 예술가들은 실패를 변형시키고자 노력했다. 평범한 것을 거부하며 자신의 예술적인 삶을 위해 현실적 결핍을 스스로 감당하려 했다. 실패한 삶을 미적 매력으로 승화시켰다. 

 

저자는 문학작품, 기업가, 유명인 할 거 없이 다양한 실패의 예를 들며 실패의 이야기를 전한다. 다양한 시대와 인물을 거치며 실패에 대한 인식은 진화해왔고 지금 또한 변화 중이다. 글을 읽으며 여러 번 실패란 단어와 이야기를 언급하다보니 점점 익숙해지고 실패도 뭐 별 거 아니네 라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실제로 마주친다면 두려움과 수침심이 우리를 주눅 들게 하겠지만 응당 그 자리에 있을 수도 있는 당연한 감정으로 받아들이는 자세로 임한다면 조금은 더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지 않을까. 누구나 해왔고 어디에나 있었고 또 다른 모습으로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