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위대한수업80

EBS 위대한 수업3 (자본주의, 사회주의, 재앙) 3강 더 큰 재앙이 온다 (2023.12.12 방송) EBS 위대한 수업3 (자본주의, 사회주의, 재앙) 3강 더 큰 재앙이 온다 위대한 아흔다섯 번째 강연 '자본주의, 사회주의, 재앙' (시즌3 열네 번째) 알렉스 캘리니코스 런던대학교 킴스칼리지 명예교수 도이처상위원회 위원 저서 , 등 3강 더 큰 재앙이 온다 재앙은 신자유주의 시대의 일상이다 하지만 우리는 코로나19의 결과로 진정한 재앙을 경험하고 있다 재앙이라는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20세기 전반기에 일어난 시건들을 살펴보자 20세기 초반에만 해도 고통과 파탄의 주된 원인은 전쟁이었다 20세기가 시작되고 75년 동안 대규모 사상자가 나온 전쟁이 무려 45번 일어났으며 그로 인해 8,600만 명이 사망했다 Q. 20세기 전반에 어떤 사건들이 있었을까? 두 차례의 세계대전 /.. 2023. 12. 13.
EBS 위대한 수업3 (자본주의, 사회주의, 재앙) 1강 무엇이 이 세계를 움직이나 (2023.12.08 방송) EBS 위대한 수업3 (자본주의, 사회주의, 재앙) 1강 무엇이 이 세계를 움직이나 위대한 아흔다섯 번째 강연 '자본주의, 사회주의, 재앙' (시즌3 열네 번째) 알렉스 캘리니코스 런던대학교 킴스칼리지 명예교수 도이처상위원회 위원 저서 , 등 1강 무엇이 이 세계를 움직이나 자본주의, 사회주의, 재앙 이 제목은 유명한 책인 '자본주의, 사회주의, 민주주의'에서 따왔다 오스트리아 경제학자 조지프 슘페터의 책으로 제2차 세계대전이 한창이던 1942년에 출간됐다 이 책에서 슘페터는 자본주의가 점차 사회주의로 교체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이 현상이 어떤 영향을 미칠지 탐구했다 슘페터는 위대한 경제학자였지만 이 주장은 틀렸다 그는 사회주의란 국가가 경제를 운영하는 거라고 봤다 동방.. 2023. 12. 11.
EBS 위대한 수업3 (과학의 풍경) 4강 물리법칙의 이상형, 대칭 (2023.11.29 방송) EBS 위대한 수업3 (과학의 풍경) 4강 물리법칙의 이상형, 대칭 위대한 아흔세 번째 강연 '과학의 풍경 '(시즌3 열두 번째) 프랭크 윌첵 MIT 물리학과 교수 스톡홀름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상하이 리정다오 연구소 창립 소장 윌첵 양자 센터 수석 과학자 템플턴상(2022) 노벨 물리학상(2004) 로런츠 메달(2002) 4강 물리법칙의 이상형, 대칭 "아름다움이 진실로 이끈다" 아름다우려면 일단 간결해야 하고 조화로워야 한다 그 다음은 대칭이다 ◆ 대칭 대칭은 현대 과학에서 중요한 주제이다 대칭은 직관적인 당위성이다 인간은 대칭을 좋아한다 카펫에도 복잡하고 대칭적인 무늬가 있고 더 높은 차원에도 대칭이 있다 사람들이 궁극의 진리에 다가가고자 방문하는 건축물에도 대칭적 장식.. 2023. 11. 30.
EBS 위대한 수업3 (과학의 풍경) 1강 흄의 단두대를 피하는 방법 (2023.11.24 방송) EBS 위대한 수업3 (과학의 풍경) 1강 흄의 단두대를 피하는 방법 위대한 아흔세 번째 강연 '과학의 풍경 '(시즌3 열두 번째) 프랭크 윌첵 MIT 물리학과 교수 스톡홀름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상하이 리정다오 연구소 창립 소장 윌첵 양자 센터 수석 과학자 템플턴상(2022) 노벨 물리학상(2004) 로런츠 메달(2002) 1강 흄의 단두대를 피하는 방법 위대한 철학자 데이비드 흄은 이렇게 말했다 "과학에는 아무런 목적성이 없다" 과학적인 '사실'의 영역과 비화학적인 '가치'의 영역에는 메울 수 없는 간극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흄의 주장은 영향력과 설득력이 꽤 강해서 철학자들은 이를 '흄의 단두대'라고 불렀다 사실과 가치를 엮으려 들면 죽는다는 것이다 이번 강연에서 이 단두대.. 2023. 11.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