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주의리부트3 EBS 위대한 수업(민주주의 리부트) 제6강~7강 요약정리 EBS 위대한 수업(민주주의 리부트) 제6강~7강 요약정리 위대한 서른여덟 번째 강연 '민주주의 리부트' 파리 8 대학 명예교수 자크 랑시에르 , , 외 제6강 진짜 위협: 합의 ■ 현대 민주주의의 문제점과 새로운 위협 - '민주주의 위기'에 대한 진단 · 민주주의를 대의제와 혼돈하거나 개인의 욕망이 만연한 사회 형태와 동일시하는 시각이 있다 · 국가나 사회 형태가 아닌 행동으로 정의해야 한다 ☞ 민주주의란 평등한 자들의 집단행동에서 표출되는 공통의 역량이다 · 오늘날 민주주의가 겪는 문제는 공통의 역량과 행동에 관한 것이다 - 위협의 두 가지 방식 · 민주주의의 행동 역량을 축소시키는 방식 · 민주주의 과두제와 혼동시키는 방식 - 이중위협에 대한 간극의 이해 · 1989년 공산권 붕괴 후 예측가들은 민.. 2022. 5. 20. EBS 위대한 수업(민주주의 리부트) 제4강~5강 요약정리 EBS 위대한 수업(민주주의 리부트) 제4강~5강 요약정리 위대한 서른여덟 번째 강연 '민주주의 리부트' 파리 8 대학 명예교수 자크 랑시에르 , , 외 제4강 우리에게도 말이 있다 1 ■ 민주주의와 해방의 관계 - 해방은 현대 민주주의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다 · 전통적으로 우월한 자가 열등한 자에 대한 권한을 포기하는 법적 행위를 해방이라고 불렀다 · 자기 해방 : 1864년 제1회 국제노동자협회의 임시 규약엔 이런 표현이 나온다 "노동자의 해방은 노동자 스스로 쟁취해야 한다" : 자기 해방은 정치 공동체 바깥으로 밀려난 사람들이 자신의 존재를 주장하는 방식 · 해방은 단순한 목표가 아닌 실천 예속된 자들은 거부된 평등권을 요구하는 데 그치지 않고 실제 행동으로 평등을 실천한다 → 형식적인 권리의 평.. 2022. 5. 15. EBS 위대한 수업(민주주의 리부트) 제1강 요약정리 EBS 위대한 수업(민주주의 리부트) 제1강 요약정리 위대한 서른여덟 번째 강연 '민주주의 리부트' 파리 8 대학 명예교수 자크 랑시에르 , , 외 제1강 무늬만 민주주의 ■ 오늘날의 민주주의 - 프랜시스 후쿠야마의 (1991년) · 소비에트 연합 붕괴(1991년), 소련은 반민주적 전체주의의 상징이었기 때문에 그 몰락은 민주주의의 위상을 확고히 해주는 듯 보였다 · 민주주의는 가장 공정하고 효과적인 체제로 보였다, 후쿠야마 교수도 민주주의의 세계적 승리를 예언했다 민주주의가 실현된 세상은 법치주의가 통하고 최대 다수가 경제적 안녕을 누리는 평화로운 세상일 테니까 · 30년이 지난 지금 그 예언이 결코 실현되지 않았단 걸 확인할 수 있다 - 2020년 말, 세계는 놀라운 현상을 목격한다 · 민주주의의 심.. 2022. 5. 1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