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과 지식 사이281 EBS 위대한 수업(인간의 길)제1강~3강 요약정리 위대한 스물두 번째 강연 '인간의 길' 장 지글러 UN 인권위원회 식량권 특별보고관(2000~2008) UN 인권위원회 자문위원(2008~) 의 저자 "스위스의 은행업, 기업 행위, 금융체계는 제3세계 국가들의 고통스러운 죽음에 대한 책임자입니다." "남아프리카의 기아와 빈곤에 우리는 책임이 있습니다. 우리는 이 정권의 공범입니다." 제1강 나는 왜 투쟁하는가 인류의 치욕 기아 방글라데시아, 몽고, 과테말라, 니제르와 같은 해외에서 임무를 수행할 때 굶주림으로 사망하는 아이를 보면 너무 고통스럽고 참혹한 죽음이라 차마 잊을 수 없다 ■ 인생을 바꾼 순간들 1. 콩고 방문 첫 임무 콩고 파견(당시 28세) 1960년 벨기에로부터 독립한 콩고 독립하자마자 정권 쟁탈을 둘러싼 분쟁과 광물 자원에 눈독들인 외세.. 2022. 1. 24. EBS 위대한 수업(국가는 왜 실패하는가)제1강~4강 요약정리 위대한 스물한 번째 강연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 MIT 경제학과 교수 대런 애쓰모글루 존 베이츠 클라크 메달(2005) 저자 동일한 역사를 가진 우리는 왜 다른 길을 걷게 되었을까? 전혀 다른 체제의 두 나라는 어떻게 경제 대국이 되었을까? 왜 어떤 나라는 어떤 나라는 부유하고 어떤 나라는 가난할까? 제1강 부자나라, 가난한 나라 ■ 빈곤과 번영의 요인 1. 경제 제도 우리는 세계화되고 통합되고 연결된 세상에 산다 전화, 인터넷, 소셜미디어의 발달은 수천 키로 미터나 떨어져 있는 우리를 매우 가깝게 만들어 준다 이런 세상에서는 가장 우수한 제도가 세계 여러 나라에 퍼져 나갈 것이라고 흔히들 예상한다 경제가 성장하고 번영할 수 있다면 어떤 제도라도 모방하고 채택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현실은 매우 .. 2022. 1. 16. EBS 위대한 수업(AI)제1강~2강 요약정리 위대한 스무 번째 강연 'AI' 스탠퍼드대 컴퓨터공학·전기공학 겸임 교수 앤드류 응 구글 브레인 설립 코세라 창업자 제1강 선한 얼굴의 AI Q. AI란 무엇인가? A. AI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어느 것이 AI이고 AI가 아닌지 동의하는 기준은 없다 컴퓨터가 지능을 가지고 행동을 하게 만드는 분야가 지금까지 성공적이었던 이유는 우리가 호의적으로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다른 분야보다 인공지능 분야가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는 우리 대부분이 기계가 더욱 지능적으로 행동하고 사람들을 도울 수 있기를 바라기 때문이다. 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기술과 방법론들을 모두 AI라고 받아들여왔다. → 기계가 지능적으로 행동하고 사람을 돕는 데 활용할 수 있다면 AI라고 부를 수 있다고 생각한다 ■ 인공지능 역사의 터닝 .. 2022. 1. 12. EBS 위대한 수업(신년특집 유발 하라리에게 듣는다) 제1강~4강 요약정리 위대한 열아홉 번째 강연 '신년특집 유발 하라리에게 듣는다' 예루살렘 히브리대학교 역사학과 교수 유발 하라리 2009, 2012 폴론스키상 수상 2011 몬카도상 수상 2012 영 이스라엘 아카데미 오브 사이언스 선정 제1강 인류 진보의 역사 Q. '유발 하라리가 역사학자가 된 이유' A. 세상이 왜 지금과 같은 모습인지 이해하고 싶었다. 우리는 왜 국가 단위로 사는지, 우리는 왜 돈을 쓰고 신을 믿는지, 왜 자본주의가 지배적인 경제체제인지 이 모든 것에 대한 궁금증. 어디에서 온 것이고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역사는 - 과거에 대한 학문이 아니라, 세상의 변화를 이해하는 학문이다. - 과거, 현재, 미래 모두 연구 대상이다 - 과거의 잘못했던 것은 배워서 피하고 잘했던 것은 배워서 활용하자는 사회통념이 있.. 2022. 1. 9. 이전 1 ··· 61 62 63 64 65 66 67 ··· 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