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레타리아의밤2 EBS 위대한 수업(민주주의 리부트) 제4강~5강 요약정리 EBS 위대한 수업(민주주의 리부트) 제4강~5강 요약정리 위대한 서른여덟 번째 강연 '민주주의 리부트' 파리 8 대학 명예교수 자크 랑시에르 , , 외 제4강 우리에게도 말이 있다 1 ■ 민주주의와 해방의 관계 - 해방은 현대 민주주의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다 · 전통적으로 우월한 자가 열등한 자에 대한 권한을 포기하는 법적 행위를 해방이라고 불렀다 · 자기 해방 : 1864년 제1회 국제노동자협회의 임시 규약엔 이런 표현이 나온다 "노동자의 해방은 노동자 스스로 쟁취해야 한다" : 자기 해방은 정치 공동체 바깥으로 밀려난 사람들이 자신의 존재를 주장하는 방식 · 해방은 단순한 목표가 아닌 실천 예속된 자들은 거부된 평등권을 요구하는 데 그치지 않고 실제 행동으로 평등을 실천한다 → 형식적인 권리의 평.. 2022. 5. 15. EBS 위대한 수업(민주주의 리부트) 제2강~3강 요약정리 EBS 위대한 수업(민주주의 리부트) 제2강~3강 요약정리 위대한 서른여덟 번째 강연 '민주주의 리부트' 파리 8 대학 명예교수 자크 랑시에르 , , 외 제2강 위기가 아니다, 사회 형태가 아니다 ■ 특정 사회 형태와 민주주의를 동일시하는 현상 - 민주주의를 통치에 문제를 일으키는 사회 상태로 본다 · 사회과학은 사회의 힘과 힘의 관계가 정치로 표현된다고 설명한다 · 1789년 프랑스 대혁명 : 근대 민주주의가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낸 사건 · 프랑스 대혁명은 왕권만 무너뜨린 게 아니라 신분제로 세워진 모든 사회 조직을 흔들었다 사회의 모든 위계 조직을 급진적으로 파괴하려 했고 만인의 자유와 평등에 근거해 새로운 정치 질서를 세우려 했다 · 알렉시스 드 토크빌 , 1835년 프랑스 출간 : 혁명의 이상인 .. 2022. 5. 1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