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위대한수업80

EBS 위대한 수업3 (다중지능이론) 3강 지능이 높으면 창의성도 높을까 (2023.09.06 방송) EBS 위대한 수업3 (다중지능이론) 3강 지능이 높으면 창의성도 높을까 위대한 여든세 번째 강연 '다중지능이론'(시즌3 두 번째) 하워드 가드너 하버드 교육대학원 교수 미국성취아카데미 골든플레이트상(1999) 미국교육학회 교육연구상(2020) 3강 지능이 높으면 창의성도 높을까 인간의 두뇌와 정신을 더 잘 이해하려면 비교적 독립적인 지능이 여러 개 존재한다고 생각해야 한다 다중지능이론은 교육계에서 큰 관심을 받았고 다중 지능을 통한 교육 방법을 몇 가지 제시했다 하지만 잊을 만하면 두 가지 질문이 떠오른다 '창의성'은 전 세계에서 유행하는 단어가 됐다 하버드의 '프로젝트 제로'라는 연구팀에서도 창의적인 게 무엇인지에 대해 얘기했는데 여러 의견이 나왔다 연구해 보니 창의성은 .. 2023. 9. 7.
EBS 위대한 수업3 (죽음의 철학) 2강 동물을 죽이는 건 얼마큼 나쁠까 (2023.08.29 방송) EBS 위대한 수업3 (죽음의 철학) 2강 동물을 죽이는 건 얼마큼 나쁠까 위대한 여든두 번째 강연 '죽음의 철학'(시즌3 첫 번째) 셸리 케이건 예일대 철학과 교수 미국예술과학아카데미(AAAS) 회원 2강 동물을 죽이는 건 얼마큼 나쁠까 호주의 철학자 피터 싱어는 이렇게 주장했다 여기서 중요한 질문은 동물에게 고통을 가하는 것뿐만 아니라 죽이는 것도 잘못일까? 동물을 고통 없이 죽일 수 있다면 그대로 동물을 죽이는 게 잘못된 걸까? 사람을 죽이는 건 설령 고통 없이 죽이더라도 확실히 잘못됐다 고통만 예방한다고 해서 도덕적인 문제가 해결되진 않는다 사람을 죽이는 게 잘못인 이유가 그 사람이 누릴 쾌락을 빼앗는 것이기 때문이라면 돼지를 죽이는 것도 잘못이라 해야 하지 않을까? .. 2023. 8. 30.
EBS 위대한 수업3 (죽음의 철학) 1강 동물을 괴롭히면 안 되나 (2023.08.28 방송) EBS 위대한 수업3 (죽음의 철학) 1강 동물을 괴롭히면 안 되나 위대한 여든두 번째 강연 '죽음의 철학'(시즌3 첫 번째) 셸리 케이건 예일대 철학과 교수 미국예술과학아카데미(AAAS) 회원 1강 동물을 괴롭히면 안 되나 동물에 대한 도덕적 대우 보통 윤리학이라고 하면 인간과 인간 사이의 의무를 떠올린다 보통 도덕을 논할 땐 인간을 대하는 방식을 따지면서 이런 질문에만 집중한다 그런데 동물에 대한 도덕적 의무에 대해선 딱히 고민하지 않는다 인간에겐 동물에 대한 도덕적 의무가 있다 우리가 그런 의무를 심각하게 받아들인다면 인간이 동물과 교류하는 방식이 급격하게 변화할 것이다 예를 들어 당장 고양이에게 불을 지른다고 상상해 보자 휘발유에 적시고 성냥을 던지자 고양이는 불타오르.. 2023. 8. 29.
EBS 위대한 수업2(대중문화사) 4강~7강 요약정리 (2023.07.13 ~) EBS 위대한 수업2(대중문화사) 4강~7강 요약정리 위대한 여든한 번째 강연 '대중문화사'(시즌2 서른아홉 번째) 도널드 서순 런던대학교 퀸메리 칼리지 유럽 비교사 명예교수 저서 도이처상 (1997) 저서 알리시오 인터네셔널상 (2009) 나폴리 평생공로상 (2017) Acqui Storia Award (이탈리아 문학상) 수상 (2019) 4강 대중음악의 탄생 음향과 음악의 발전은 기술 발달의 덕을 많이 봤다 소설보다 기술 발달의 덕을 많이 봤다 1800년 이전에 음악을 공짜로 듣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교회에 가거나 종교의식에 참가하는 거였다 음악을 듣는 또 다른 방법은 귀족 살롱을 열어서 직접 음악가와 작곡가를 부르는 거였다 물론 중요한 임무를 맡.. 2023. 7.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