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은왜불안한가2 EBS 위대한 수업2(사랑의 사회학) 6강~7강 요약정리 EBS 위대한 수업2(사랑의 사회학) 6강~7강 요약정리 위대한 마흔아홉 번째 강연 '사랑의 사회학'(시즌2 일곱 번째) 사랑은 사회·문화적 현상입니다 사랑은 매우 정치적이죠 에바 일루즈 문화 사회학자 프랑스 사회과학고등연구원 학장 사랑은 왜 끝나나(2020), 사랑은 왜 불안한가(2014), 사랑은 왜 아픈가(2013), 감정 자본주의(2010) 내일의 사유를 바꿀 12인의 사상가_독일 디 자이트(Die Zeit) 감정을 사회학으로 다룬 선구자_프랑스 르 몽드(Le Monde) 6강 사랑은 왜 끝나나 ♣ 섹슈얼리티의 변동 1. 신체 인식 변화 우리의 신체는 인터넷 기술과 소비 시장에 의해 탈바꿈했다 성적으로 바라본 신체를 소비의 도구로 이용하는 건 매우 쉽다 2. 성적 경험의 증가 과거보다 많은 파트너.. 2022. 10. 24. EBS 위대한 수업2(사랑의 사회학) 1강~3강 요약정리 EBS 위대한 수업2(사랑의 사회학) 1강~3강 요약정리 위대한 마흔아홉 번째 강연 '사랑의 사회학'(시즌2 일곱 번째) 사랑은 사회·문화적 현상입니다 사랑은 매우 정치적이죠 에바 일루즈 문화 사회학자 프랑스 사회과학고등연구원 학장 사랑은 왜 끝나나(2020), 사랑은 왜 불안한가(2014), 사랑은 왜 아픈가(2013), 감정 자본주의(2010) 내일의 사유를 바꿀 12인의 사상가_독일 디 자이트(Die Zeit) 감정을 사회학으로 다룬 선구자_프랑스 르 몽드(Le Monde) 1강 사랑은 변한다 - 우리는 늘 같은 방식으로 사랑해왔을까? · 대부분 사랑을 보편적이며 영원한 감정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사회학자는 사랑을 다르게 본다 · 플라톤의 은 사랑에 관한 서양의 기본 개념서이다, 사랑을 정의하고 .. 2022. 10. 2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