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을말하다2 EBS 위대한 수업(공정을 말하다)제4강~6강 요약정리 위대한 스물네 번째 강연 '공정을 말하다' 하버드 대학교 교수 마이클 샌델 저자 제4강 질의응답 ■ 학생이 행복한 사회를 위해 Q. (코로나19 확진자 시험 감독관이었던 질문자) 형식적인 공정함에는 집착하면서 학생들의 행복한 삶에는 무관심한 현실. 학생들이 행복하려면 우리 사회는 무엇을 해야 할까? A. 학생들은 방호복을 입고서라도 시험을 봐야 한다고 생각한다. 시험 결과에 미래가 달려 있기 때문에. 우린 학생들을 너무 압박하고 있다. 우리 사회가 대학 학위를 과하게 중시하고 대학 학위를 성공의 지름길로 여긴다. 고등 교육 기관인 대학에서 평생을 일한 사람으로서 고등 교육의 중요성을 진심으로 믿고 가능한 한 많은 사람이 대학에 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믿는다. 그건 중요한 사명이다. 하지만 이것이 중요한 건.. 2022. 2. 9. EBS 위대한 수업(공정을 말하다)제1강~3강 요약정리 위대한 스물네 번째 강연 '공정을 말하다' 하버드 대학교 교수 마이클 샌델 의 저자 제1강 능력주의는 왜 폭압이 되었을까? ■ 능력주의의 폭압 우리는 보통 능력을 좋은 것 이상적인 것으로 생각한다 심지어 능력을 보상받아야 공정한 사회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왜 능력주의가 폭압이 되는 걸까? ★ 능력이 능력주의로 변하는 순간 능력은 폭압이 된다 능력주의 사회에서 성공한 사람들은 스스로의 힘으로 성공했다고 믿는다 그래서 시장에서 얻는 모든 혜택을 당연하다고 여긴다 능력주의는 승자와 패자를 갈라놓는다면 폭압이 될 수 있다 성공한 사람들은 운이 좋았다는 것, 성공에 보탬이 된 사람들의 역할을 잊어버린다 → 능력주의적 오만 승자들이 성공하지 못한 사람, 운이 안 좋은 사람을 무시 Q. 부자는 노력으로 부를 얻을까요?.. 2022. 2. 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