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무역의역사6 EBS 위대한 수업3 (자유무역의 역사) 2강 왜 가난한 나라와 무역하는가 (2023.11.06 방송) EBS 위대한 수업3 (자유무역의 역사) 2강 왜 가난한 나라와 무역하는가 위대한 아흔 번째 강연 '자유무역의 역사 '(시즌3 아홉 번째) 비노드 아가왈 UC버클리대 정치학과 석좌교수 버클리 APEC 연구센터 소장 「비즈니스와 정치」 편집장 2강 왜 가난한 나라와 무역하는가 국가들이 뛰어난 분야를 전문화해야 이득을 얻을 수 있다 가장 중요한 개념은 교역조건이다 국가끼리 무역할 때 상품을 교환하는 비율이다 교역조건을 이해해야 어떤 이득이 발생하고 누가 이득을 얻는지 알 수 있다 데이비드 리카도가 제시했던 예이다 하지만 이번 예는 이해하기가 좀 어렵다 전 세계 인구의 99%가 이해하지 못 할 것이다 그래서 리카도의 이 발견이 매우 중요했던 것이다 미국은 밀 200.. 2023. 11. 7. EBS 위대한 수업3 (자유무역의 역사) 1강 왜 국가는 무역을 하는가 (2023.11.03 방송) EBS 위대한 수업3 (자유무역의 역사) 1강 왜 국가는 무역을 하는가 위대한 아흔 번째 강연 '자유무역의 역사 '(시즌3 아홉 번째) 비노드 아가왈 UC버클리대 정치학과 석좌교수 버클리 APEC 연구센터 소장 「비즈니스와 정치」 편집장 1강 왜 국가는 무역을 하는가 Q. 자유시장경제란 뭘까? 자유시장경제의 개념은 꽤 단순하다 기업들은 팔고 싶은 물건을 팔고 소비자는 원하는 걸 사는 것이다 시장이 원활하게 돌아가기 때문에 정부의 개입은 필요하지 않다 자유주의 경제학자들은 이런 경제 시장과 경제적 자유가 있어야 사회가 조화롭고 부유해지며 모든 구성원에게 혜택이 돌아간다고 믿는다 이론적으론 그렇다 자유시장경제에 어떤 이점이 있는지 알려면 전문화에 관해서 이.. 2023. 11. 4.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