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는어떻게무너졌는가5

EBS 위대한 수업3 (우리는 어떻게 무너졌는가) 6강 청년은 무엇을 해야하나 (2023.09.18 방송) EBS 위대한 수업3 (우리는 어떻게 무너졌는가) 6강 청년은 무엇을 해야하나 위대한 여든네 번째 강연 '우리는 어떻게 무너졌는가'(시즌3 세 번째) 로버트 퍼트넘 하버드 케네디스쿨 명예교수 전 영국, 프랑스, 싱가포르 등 정책자문위원 전 클린턴, 부시, 오바마 행정부 정책자문위원 칼 도이치상(2018) 미국 국가인문학 훈장(2013) 우드로 윌슨상(2011) 쉬태상(2006) 6강 청년은 무엇을 해야 하나 지난 미국의 100년은 이렇게 부른다 I - WE - I세기 처음에 미국은 오로지 나 자신에게만 집중했지만 20세기 전반부에는 서서히 함께하는 사회로 접어들었다 그러다 그 흐름이 뒤집혀서 하락세를 맞았다 보통 경제학자들은 이러한 패턴의 통계 데이터를 통해 '선행 지표'를 .. 2023. 9. 19.
EBS 위대한 수업3 (우리는 어떻게 무너졌는가) 5강 어쩌다 이렇게 됐을까 (2023.09.15 방송) EBS 위대한 수업3 (우리는 어떻게 무너졌는가) 5강 어쩌다 이렇게 됐을까 위대한 여든네 번째 강연 '우리는 어떻게 무너졌는가'(시즌3 세 번째) 로버트 퍼트넘 하버드 케네디스쿨 명예교수 전 영국, 프랑스, 싱가포르 등 정책자문위원 전 클린턴, 부시, 오바마 행정부 정책자문위원 칼 도이치상(2018) 미국 국가인문학 훈장(2013) 우드로 윌슨상(2011) 쉬태상(2006) 5강 어쩌다 이렇게 됐을까 정교하게 설계된 이탈리아에서의 연구를 통해 사회 자본이 민주주의에 얼마나 중요한지 알게 됐다 또 미국뿐 아니라 다른 나라에서도 마찬가지로 사회 자본이 지난 30~40년간 쇠퇴했다는 것도 알게 됐다 현재 미국의 정치적 양극화는 역사적인 수준이다 미국 .. 2023. 9. 16.
EBS 위대한 수업3 (우리는 어떻게 무너졌는가) 4강 우리는 무엇을 물려주고 있나 (2023.09.14 방송) EBS 위대한 수업3 (우리는 어떻게 무너졌는가) 4강 우리는 뭇엇을 물려주고 있나 위대한 여든네 번째 강연 '우리는 어떻게 무너졌는가'(시즌3 세 번째) 로버트 퍼트넘 하버드 케네디스쿨 명예교수 전 영국, 프랑스, 싱가포르 등 정책자문위원 전 클린턴, 부시, 오바마 행정부 정책자문위원 칼 도이치상(2018) 미국 국가인문학 훈장(2013) 우드로 윌슨상(2011) 쉬태상(2006) 4강 우리는 무엇을 물려주고 있나 가난한 동네와 부자 동네의 사회 자본과 기회의 격차는 급격히 늘고 있고 바로 그게 불평등을 키운다 양쪽 동네의 대부분은 이웃을 알고 지낸다고 답했다 부유한 사람들은 그 수가 더 많았다 부자 동네 아이들은 부모가 대학 관계자들과 연결해 줄 확률이 높고 그럼 대학에 .. 2023. 9. 15.
EBS 위대한 수업3 (우리는 어떻게 무너졌는가) 3강 흙수저 탄생의 비밀 (2023.09.13 방송) EBS 위대한 수업3 (우리는 어떻게 무너졌는가) 3강 흙수저 탄생의 비밀 위대한 여든네 번째 강연 '우리는 어떻게 무너졌는가'(시즌3 세 번째) 로버트 퍼트넘 하버드 케네디스쿨 명예교수 전 영국, 프랑스, 싱가포르 등 정책자문위원 전 클린턴, 부시, 오바마 행정부 정책자문위원 칼 도이치상(2018) 미국 국가인문학 훈장(2013) 우드로 윌슨상(2011) 쉬태상(2006) 3강 흙수저 탄생의 비밀 사회 자본의 하락은 미국의 평등에 어떤 영향을 주었나 평등은 두 가지 방식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우선 부와 기회를 바탕으로 평등을 논할 수 있다 부자와 가난한 사람들의 빈부 격차가 커질수록 경제적, 사회적 평등도 줄어든다 사실 미국인들은 그 점을 크게 우려하지 않았다 계층 이동이.. 2023. 9.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