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하르트다비트프레히트2 EBS 위대한 수업(일상의 철학) 제4강~6강 요약정리 EBS 위대한 수업(일상의 철학) 제4강~6강 요약정리 위대한 서른아홉 번째 강연 '일상의 철학' 철학자 리하르트 다비트 프레히트 독일 공영방송 ZDF [프레히트 쇼] 진행자(2012~) (2007)-40여 개 언어로 번역 출간 (2020), 의무란 무엇인가(2021) 제4강 왜 착하게 살아야 하는가 ■ 인간은 도덕적 존재인가, 아닌가? - 인간은 선한가, 악한가 · 인간이 악하다는 사람들 대부분이 자신은 예외라고 한다 자신을 인간으로 규정하면서 본인은 선하고 다른 사람은 악하다고 하는 것은 모순이다 · 오스트리아의 극작가 요한 네스트로이(1801~1862) : 사람은 한 명만 보면 착한데 무리를 지으면 불량배가 된다 · 자신을 선하다고 생각하는 것만으로 선하다는 것이 사실이 되진 않는다 · 우리 사회는.. 2022. 5. 22. EBS 위대한 수업(일상의 철학) 제1강 요약정리 EBS 위대한 수업(일상의 철학) 제1강 요약정리 위대한 서른아홉 번째 강연 '일상의 철학' 철학자 리하르트 다비트 프레히트 독일 공영방송 ZDF [프레히트 쇼] 진행자(2012~) (2007)-40여 개 언어로 번역 출간 (2020), 의무란 무엇인가(2021) 제1강 일은 왜 하는가 ■ 노동 - 노동을 뜻하는 단어 Arbeit는 중세 시대 독일어인 Arebeit에서 유래했다 · Arebeit는 고됨, 고역, 고생, 씨름하다 등의 뜻이다 · Arebeit는 고대 그리스어 Ponos 로마어 Laborare를 번역한 것이다 여기에서 영어의 Labor(노동), Lab(연구실) 등의 단어가 유래했다 · 로마어 Laborare는 고대에 노예와 여성, 외국인의 노동을 지칭했다 → Laborare는 타인을 위한 노.. 2022. 5. 20. 이전 1 다음